•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嘉靖29年銘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형식적 독창성과 도상해석학적 고찰 (A Study on the form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irty-two Nirāmaṇakāya Avalokiteśvara Painting(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 in Jionin(知恩院) : Focused on the symbol of 32 Nirāmaṇakāya and the Execution of Upa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3
37P 미리보기
嘉靖29年銘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형식적 독창성과 도상해석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3호 / 445 ~ 481페이지
    · 저자명 : 강소연

    초록

    본 논고에서는 가정29년명 〈관세음보살32응탱(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이하, 본도)의 형식 및 양식 고찰의 기반 위에 그 도상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도에는 조선시대의 모범적 전형(典型)이 되는 관세음보살이 등장하는데, 먼저 전 시대의 고려 수월관음과 비교하여 그 형식과 양식의 상이점을 밝혀 보았다. 그리고 같은 시대의 중국 및 일본의 유사 주제 작례와의 비교를 통해,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이 얼마나 독창적으로 본도에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보문품의 내용을 한 폭의 산수화 속에 앉힌 본도의 구도는 여타 작례에서는 볼 수 없는 대담하고도 획기적인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통찰하는 관점을 조감도식(鳥瞰圖式) 관점으로 묘사한 화사 이자실의 탁월한 불교적 해석력을 찾아볼 수 있었다. 산수화 및 불화, 두 개의 장르에 모두 통달한 이자실은 과연 어떤 가계(家系)의 인물인지, 화승(畵僧)으로서의 그의 내력을 살펴보았다. 이에 조선전기 이자실 작품으로 추정되는 〈금니수월관음도〉와 〈아미타삼존도〉를 예로 들어, 형식적 유사성과 화기(畵記) 내용의 공통점을 비교 분석하여, 이자실이 ‘비구희안(比丘希顔)’일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도의 제명으로 쓰인 ‘삼십이응신(三十二應)’에 대한 종교적 의미를, 초기경전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을 통해 밝혀보았다. 『법화경』의 방편바라밀의 구현으로서의 삼십이응신이 어떻게 보문관음의 자비행과 연결되는지, 그 신앙적 의의를 논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도에서 나타내고자 한 진면목을 밝혀, 본도의 의의와 기능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iconographical meanings of the early Joseon period 〈Thirty-two Nirāmaṇakāya Avalokiteśvara Painting(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form and style consideration.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Avalokiteśvara is shown in such a lively way in bright color which became an exemplary model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First, this main figure was compared with the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the Goryeo Dynasty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rm and style were discussed. And by comparing with the works of similar subjects in China and Japan of the same period, how creatively the contents of 「the Universal Gate of Avalokiteśvara(觀世音菩薩普門品)」 in Lotus Sutra were embodied in this work. Through this kind of comparis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which shows organic harmony of the multiple scenes well-placed in the background of a magnificent landscape to be bold and original,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similar themed works.
    Representing the perspective of Avalokiteśvara’s insight of the world in a bird's eye view style(鳥瞰圖式) drawing shows that Lee Jasil(李自實) the painter of this work was outstanding at interpreting Buddhist scriptures. He seems to be master in both landscape and Buddhist paintings.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he could be a monk painter(畵僧) was examined by tracing down the history of his family and through the records found in his art works.
    Taking the example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Gold(金泥水月觀音圖)〉 and 〈Amitabha-Triad(阿彌陀三尊圖)〉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works of Lee Jasil, the formal similarity and the same phrase of records in the painting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term “Thirty-two Nirāmaṇakāya (三十二應)” as the title of the painting was revealed through the early Buddhist scripture Lakkhana-Sutta(or mahā-puruṣa lakṣaṇa sutra, 三十二相經). By looking into the fundamental meaning, it became clesr that the thirty-two Nirāmaṇakāya was proposed as an implementation of Upaya-pāramitā in Lotus Sutra directly relating to the mercy or compassion of the Universal Gate Avalokiteśvara. Through this work, the basic meaning of the painting was revealed and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is work were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