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震亨의 長物志 중 ‘懸畵月令’과 明代 末期의 繪畵鑑賞 (‘Calendar for the Display of Scrolls’ in Zhangwuzhi by Wen Zhenheng and Late Ming Painting Appreci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2
22P 미리보기
文震亨의 長物志 중 ‘懸畵月令’과 明代 末期의 繪畵鑑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9호 / 229 ~ 250페이지
    · 저자명 : 박은화

    초록

    文徵明(1470-1559)의 曾孫이며 대대로 학문과 예술로 명망이 높았던 집안 출신으로 명대 말기 강 남 지역의 문인 사회를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인 文震亨(1585-1645)의 長物志는 衣, 食, 住, 行, 用, 出遊, 鑑賞 등을 망라해 당시 문인들이 지향하던 고상한 취미와 우아한 생활을 위한 지침서이자 당시문인계층의 심미의식과 문인문화를 반영하는 백과사전적인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長物志의 「書畵」편은 서화의 감상 및 소장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書畵」 편에 수록된 ‘懸畵月令’은 때에 따라 걸어놓고 감상하는 그림의 畵題를 月別, 특정한 시기별로 제시한 것 으로 명대에 많이 출간된 문인들의 玩賞品과 감상 및 소장에 대한 閑事를 기록한 다른 저술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내용으로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회화사의 관점에서 깊이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懸畵月令’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중국 회화의 畵題와 회화감 상의 양상, 그리고 회화의 창작과 감상에 내재된 시간관념을 살펴보았다.
    禮記의 「月令」 편에서 유래한 月令思想에 기반한 ‘懸畵月令’은 歲時에 의거해 진행되는 節令 활동과 관련되면서 점차 시간개념을 표현하는 전통이 된 그림의 종류를 매우 구체적으로 열거하였다. 특히 중요한 절기와 관련된 화제는 회화 감상에 그림의 주술적인 효용성이나 민속적인 요소가 포함되었고 장식적인 용도도 감안되었으며, 문인들의 회화감상이 문인화의 화제나 양식에 국한되지 않았음을 말해주어 주목된다. 또한 ‘懸畵月令’에 송,원대 작품이 거론된 것으로 보아 이미 송대부터 도석인물화나 풍속화, 산수화가 특정한 절기와 관련해 제작되거나 감상되었을 가능성이 대두된다. ‘懸畵月令’을 통해 문인화가들이 즐겨 그리고 감상한 화제도 특정한 계절이나 때를 위해 그려진 예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절기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鐘馗圖, 壽星圖와 같이 동일한 화제가 여 러 화가들에 의해 빈번하게 그려진 경우 화가의 독자적인 해석이나 양식을 반영하여 그림이 제작되고 소장가들은 자신의 안목과 취향에 따라 그림을 선택하여 감상함으로 당시 회화의 양식과 畵意의표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렇듯 ‘懸畵月令’은 사회적 지위와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영향력을 통해 화제와 회화 양식의 다양화에 기여함으로 명대 말기의 화단을 더욱 다채롭게 만든 문인들의 회화 소장이나 감상에 시간개념이 포함된 시대적 상황을 밝혀준다. 나아가 회화 제작 및 유통, 감상과 소장의 양상을 반영함으로 현존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더욱 다각적이고 유기적으로 고찰하고 이해하는 근거가 되며 당시 회화의 성격과 특징을 비롯해 변화의 양상과 그 원인을 밝히는 데에도 도움을 주어 중국회화사연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헌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en Zhenheng(1585-1645),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ti of the late Ming period, and a scholar, artist, and arbiter of taste, wrote the manual Zhangwuzhi(Treatise on Superfluous Thing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rt of living and rules of style and taste for literati trying to aestheticize the details of daily living, and to maintain their position among China’s social elite class, when object became the agent for both the assertion of individuality and integration into the elite culture.
    Zhangwuzhi includes ‘Calendar for the Display of Scrolls’ that advises on the appropriate images for paintings to hang on major holidays and special occasions, which is hung for short duration and useful for charting the passage of the time around the year. It lists the precise circumstances and times of the year when certain types and subjects of painting suitable for the literati’s taste could elegantly be displayed, and reflects the concept of time manifested in Chinese visual and material culture.
    Wen Zhenheng provided a detailed calendar as to what images should be hung at what time of year, showing that as a renowned literati painter and connoisseur, he was not indifferent to subject matter of painting, and even in regard to the highly prestigious art form of painting, he was aware of traditional apotropaic, performative and decorative functions of picture making and painting appreciation. He also emphasized that when paintings were seen was as important as what they depicted.
    ‘Calendar for the Display of Scrolls’ also shows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certain themes of painting, and Wen’s reference to displaying Song and Yuan paintings on certain themes testifies that already by the Song, specific imagery were used for the special season and time, and in the mid-Ming period, the themes of paintings he mentioned became important items to collectors to amass in their collections. Therefore, it provides a good indication not only of the practice of hanging scrolls of different subjects to suit season and occasion, but also of the increasing demands on painting that facilitated the production of professional painters’ works and forgeries for the antique market.
    The choice of paintings to be displayed on a particular time or occasion depends largely on individual taste and preference. However, Wen’s list explains that certain rules and traditions of painting appreciation were adopted by the literati of refined taste, which influenced development of different styles and diverse subject matter of the late Ming painting with a proliferation of writings on collecting and connoisseurship. It also offers some insight into a little studied concept of time underlain Chinese painting and helps understand the meaning and social, cultural background of the extant Ming and Qing paintings more preci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