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학자’ 김태준에 대하여 - 經學院 直員·明倫學院 講師 재직 10년간 (Kim Tae-joon as a traditional schola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9.03
33P 미리보기
‘한학자’ 김태준에 대하여 - 經學院 直員·明倫學院 講師 재직 10년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6호 / 221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용범

    초록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천태산인 김태준의 명륜학원 재직기 및 한문학적 전통의 실천에 주목하여, 기존 연구사의 구도에서는 명확하게 포착되기 어려웠던 ‘한학자’로서의 새로운 면모들을 밝혀낸다. 성암과 천태산인 등의 필명의 의미를 전통학술의 맥락에서 설명하였다. 김태준의 명륜학원 임용에 있어 무정 정만조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도쿄제국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한학자’들과의 관계, 그리고 한시 수창이 중요한 매개를 담당했음이 드러난다. 성균관의 제례기능만을 계승했던 경학원은 부설 명륜학원의 설치로 교육기능을 부분적으로 회복하게 되며, 그것은 조선유림들의 지속적인 요구, 식민지 정부의 유학 이용의 필요성, 경성제국대학이라는 근대 아카데미의 설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경성제대 졸업직후 곧바로 명륜학원의 강사로 임용된 김태준은 조선총독부 직원이라는 안정적인 신분과, 비교적 적은 교수부담으로 연구활동에 유리한 요건들을 확보하게 된다. 김태준은 명륜학원 재직기 한시 수창, 고전적(古典籍)의 수집과 필사 등 한문학적 전통의 실천을 이어나가며, 그것을 자신들의 제자들에게 전수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김태준이 1930년대 이미 낙하생(洛下生)을 이학규로 낙점할 수 있었던 것은 지속적인 한문학 전통 실천활동의 수확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시체제기의 격화와 더불어 평화로운 명륜학원의 일상에 균열이 찾아오게 된다. 명륜학원의 동료들이 대부분 적극적인 체제협력에 나서던 시점, 김태준은 경성꼼그룹 참여를 통해 항일을 선택한다. 그의 선택은 예과시절부터 보여주었던 강렬한 민족의식이 예고하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김태준은 경성꼼그룹의 지도부로부터 의혹의 눈초리를 받으며 연락책이나, 확실한 신분에 기댄 은신처 확보 등의 제한적 역할만을 수행하다가 체포되고 만다. 본고에서 밝혀진 명륜학원 강사이자 한문학 전통의 실천자로서의 면모는 특히 「연안행」을 중심으로 구축된 기존의 ‘혁명가’ 이미지를 재고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김태준이라는 인물과 그의 학술활동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한·중·일을 아우르는 동아시아 역내의 장기역사적 맥락, 그리고 전통의 ‘외부’에 위치한 비판자가 아닌 내부와 외부를 아우르는 시각을 확보한 비판적 계승자라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heds light on Kim Tae-joon(1905-1949) as a traditional scholar who worked at Myungnyunhakwon(明倫學院) and on his practices based on Korean tradition. The article explains the origins of his pennames, Seongam(聖巖) and Cheontaesanin(天台山人). As the successor of the old Sungkyunkwan(成均館) of the Chosun Dynasty, Kyeonghakwon(經學院, 1911-1945) only retained its ceremonial function. It recovered its educational function in 1930 in response to complicated circumstances, including Koreans’ constant requests, the colonial government’s demands for Confucia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Kim Tae-joon was appointed as soon as he graduated from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secured a very stable position as an employee of the Government-Generals Office of Korea. His light workload allowed him to devote a large share of his time to his own research. In the 10 years he worked at Myungnyunhakwon, he ceaselessly maintained his traditional practices—composing Chinese poems, collecting old books, transcription—, and passed them down to his pupils. He was able to identify Lee, Hak-kyu(李學逵, 1770-?) as the author of Nak ha saeng go『洛下生藁』 almost 50 years before the Korean academy confirmed it. As the Japanese mobilization intensified in the late 30s, it became hard to enjoy a peaceful life at school. Almost all of his colleagu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lonial government policy, while Kim chose to resist by joining the Keijo communist group. He could only perform a limited role within the group and was soon arrested. The article reveals another side of Kim Tae-joon as a traditional scholar, and shows the necessity to refer to the wider East Asian context and historical perspective to interpret Kim’s life and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