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洞里名의 形成과 變遷에 관한 硏究 - 제천의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Word-Formation of Village Names - Focusing on Town Area of Jechon City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6
43P 미리보기
洞里名의 形成과 變遷에 관한 硏究 - 제천의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26권 / 103 ~ 145페이지
    · 저자명 : 박병철

    초록

    본 연구는 제천현 5개면의 동리명을 대상으로 그 형성 배경과 변천을 탐구한 것이다. 원초형인 속지명과 한자표기 또는 한자어 동리명과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여 고유어지명이 한자화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輿圖』에서부터 현용 동리명까지의 검토를 통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輿圖』에 등재된 동리명 중 현용되는 것은 51.2%이며, 『忠誌』에 새로 등장하여 현용되는 것은 4개에 불과하다. 『舊名』에 새로 등장하여 현용되는 동리명은 7개이며, 『新舊』에 새로 등재된 10개(23%)의 동리명을 비롯한 43개의 명칭은 ‘牛洞’이 ‘平洞’으로 교체되었을 뿐 모두 현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할 때 동리명의 근간은 『輿圖』에서 확립되었으나 『新舊』에 와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傳來地名 즉 俗地名을 漢字化하면서 屬性地名인 후부요소는 意譯하였다. 반면에 性格要素인 전부요소의 경우 『輿圖』를 비롯한 이른 시기의 문헌일수록 音譯하였다. 전부요소를 음역한 것은 원초적인 음성 형태를 보존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후대로 오면서 의역에 의한 동리명의 한자어화가 진행되었다. 나아가 전래지명을 배경으로 삼지 않고 직접 한자로 동리명을 造語하여 命名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and word- formation of five village names in town area of Jechon city. It focuses on the sino-korean translations of native village names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native toponyms and their corresponding sino-korean toponyms or sino-korean transliterations. Furthermore, it aims to research the historial changes of village names with close examination of the toponyms from the ones registered in 『Geographical Map of Korea(輿地圖書)』 to their current forms.
    Of all the village names registered in 『Geographical Map of Korea(輿地圖書)』 51.2% are in current use. And of all the names newly registered in 『Description of Chungcheong Province(忠淸道邑誌)』, only 4 are intact. As for the toponyms newly registered in 『Catalogue of Administrative Names of Korean Empire(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7 are in current use. And 10(23%) of all the 43 names registered in 『Catalogue of New and Ancient Villag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remain intact including ‘Pyeong-Dong(平洞)’, a variation of ‘Woo-Dong(牛洞)’.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original form of most of the village names can be traced back to the time of 『Geographical Map of Korea(輿地圖書)』 and underwent a remarkable change at the period of the publication of 『Catalogue of New and Ancient Villag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Normally, the rear parts of sino-korean toponyms are meaning -based translations of native words, while the front parts are usually sound-based translations. This tendency was prevalent in earlier days as can be seen in the analysis of 『Geographical Map of Korea(輿地圖書)』. Sound-based translations are preferred for the front parts to preserve their original sounds in native korean words. However, as time passes, meaning-based translations become more frequent and there appear new toponyms which are formed after sino-korean w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