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천(寶川)과 효명(孝明)의 오대산 은거 기록 속 문제점 검토 (A Review of problems in the records on hermit life of Bocheon and Hyomyeong in Mt. Odaes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8
33P 미리보기
보천(寶川)과 효명(孝明)의 오대산 은거 기록 속 문제점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5호 / 153 ~ 185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신라 오대산(五臺山)의 개창자는 자장(慈藏)이지만, 오대산 신앙을확립하는 인물은 통일신라 초기의 보천(寶川)과 효명(孝明)이다. 그런데 이들 기록에는 완전히 정리되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 중 은거와 관련해서 발견되는 총 4가지를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첫째, 자장의 계승자로 『삼국유사』 「臺山五萬眞身」에는, 보천·효명의 앞에 신의(信義)·유연(有緣)이 등장하는 문제. 이는 후일 오대산에전해지던 두 가지의 별개 문헌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는 개창자인자장을 보충하려는 필연성이 존재함을 밝혔다.
    둘째, 정신(淨神)은 보천의 다른 이름인가? 보천의 부왕(父王)인가?의 문제. 이는 민지(閔漬)의 『五臺山事蹟記』 정리 결과를 중심으로, 다수의 설인 ‘정신=보천’이 타당함을 분명히 했다.
    셋째, 보천과 효명의 오대산 은거(隱居) 이유. 본고에서는 이들이강릉(江陵)의 세헌각간(世獻角干) 집에서 하루만 유숙하는 반면, 성오평(省烏坪)에서는 여러 날을 지내는 것 등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서 이들의 은거가 경주에서의 왕권 다툼과 관련해, 세헌각간에게 의탁하는 것이 실패한 뒤에 이루어진 것임을 밝혔다.
    넷째, 보천과 효명의 은거가 647년에 이루어졌다는 기록의 문제. 본고에서는 이 연대 착오가 자장과 보천·효명을 연결하려는 후대 오대산 측의 의도된 왜곡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영어초록

    Jajang (慈藏) founded the Odaesan Faith in the Silla Dynasty, while Bocheon (寶川) and Hyomyeong (孝明)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the faith during the early days of Unified Silla. However, there are inconsistencies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records from this time.
    Firstly, as the successors to Jajang, Sineui (信義) and Yuyeon (有緣) are mentioned before Bocheon and Hyomyeong in <Odaesan Manjinsin>(臺山五萬眞身)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This was based on two separate documents that had been later passed from the Odaesan. From my own research, I demonstrate here that this wa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under, Jajang.
    Secondly, why did Bocheon and Hyomyeong come to Odaesan? It was noticed that they stayed just one day at the house of Seheon Gakheon (世獻角干) in Gangneung but several days at Seongopyeong (省烏坪). Through these records, it is clear that their hermit life was caused by an unsuccessful stay at the house of Seheon Gakheonin due to the dispute over the kingship in Gyeong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