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전통에서의 불교학, 우리 시대의 불교학 (Buddhist Studies in the Buddhist Tradition and in Our Era)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0.08
51P 미리보기
불교전통에서의 불교학, 우리 시대의 불교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5호 / 1 ~ 51페이지
    · 저자명 : 권오민

    초록

    본고는 ‘인문학으로서의 불교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의한국불교학회 2020년 하계 워크숍에서 발표한 것으로, 필자는 그 답을 불교전통에서 찾고자 하였다. 계(戒)·정(定)·혜(慧)·해탈(解脫)·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분법신(五分法身)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 수행론의 기본구도라고 할 만한 것으로, 뒤의 두 가지가 수행(修行)/수학(修學, śikṣā)의 결과이기 때문에 실천수행도는 앞의 세 가지이다.
    그러나 불교교학상에서 계율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선법(善法)을방호(saṃvara: 律儀)하기 위한 것이고, 선정은 [4성제나 空性과 같은] 관찰해야 할 지식의 대상에 대해 전념하는 것으로 결정적 판단(즉 지혜)의 토대(āśraya: 所依)이기 때문에 지혜의 성취가 수행도의목적이자 본질이라 할 수 있다.
    불교전통에서 지혜(prajñā)는 분석판단(pravicaya: 簡擇)을 가능하게 하는 힘 즉 판단력으로, 청문(聽聞, śruta)과 사유(思惟, cintā)와수습(修習, bhāvanā) 세 가지 방식으로 성취된다. 이를 각기 문(聞)· 사(思)·수혜(修慧), 즉 믿을만한 이의 말씀(āptavacana: 至敎)을 듣고생겨난 지혜[聞所成慧], 이를 이론/논리(yukti: 正理)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생겨난 지혜[思所成慧], 이후 삼매의 실천(samādhibhāvanā)을통해 진리와 직접 대면하여 생겨난 지혜[修所成慧]라고 한다.
    사혜(思慧)는 의심과 탐구를 본질로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성전의불설·비불설, 요의·불요의의 문제를 비롯하여 인간이성이 제기한 온갖 문제가 포함되는데, 지난 2천년에 걸친 다이내믹한 불교사상사는이에 따른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의 불교학의 정체성 역시여기서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성전의 말씀을 잘 이해 기억하여 강의하고 저술하는 것, 혹은 선정을 통해 직접 경험/체험하는 것은 불교학자 본연의 임무가 아니다. 이는 불교신행자나 수행자의 몫이다. 불교원전에 대한 비판적 분석 탐구 없이, 다만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특정불교를 [시간적 공간적 맥락의 고려 없이] 주어진 대로, 거기서설하고 있는 대로/글자 뜻대로 이해하는 것은 불교학이 아니다.
    불교학자는, 오로지 믿음을 통해 진리성을 승인하고 그 전파에 힘쓰는 포교사나 의심과 비판(즉 思惟)은 배제한 채 다만 선정이라는직접경험을 통해 진리성을 확인하려는 수행자와 구별되어야 한다.
    아울러 과거의 불교학자(논사)들이 그러하였던 것처럼 성전(āgama) 과 정리(yukti)를 통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불교사상사를통해 볼 때 불교(학)의 최종 관심사인 불타 깨달음 즉 ‘진실(眞實, tattva, satya)’은 고정된 불변의 관념이 아니었다. 따라서 항상 이를 확인하고 변증하는 일, 이것이 불교학자의 소임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considers the question, 'How should we practice Buddhist studies as a discipline in the humanities?', a question that formed the title for the 2020 summer workshop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I explored this question further through the wisdom of reason (cintā-prajñā , 思慧) among the three kinds of the wisdom of Buddhist tradition.
    Wisdom(Prajñā) in the Buddhist tradition means the force to enable analytical judgment (pravicaya, 簡擇). This wisdom arises through reason or logical investigation of what is heard (cintāmayī prajñā, 思所成慧) substantially based on doubt and investigation on almost all issues raised by human reason, including both the authenticity and completeness of Buddha's words and its unorthodoxy and incompleteness (佛說/非佛說, 了義/不了義), which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over the two millennia was based on. Therefore,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Buddhist Studies must be pursued in the same vein as its history. Buddhist studies does not imply that the scholars literally understand the teachings of a particular Buddhist tradition as recorded or preached in the texts without critically evaluating the contexts in space and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he final concern of Buddhism, Buddha's enlightenment or the truth (tattva, satya) was not a fixed and immutable idea. Therefore, I believe it is the duty of all Buddhist scholars to confirm and testify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