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의 對明 遊學 요청과 중국 유학에 대한 조선 문인의 견해 (Joseon's Request for Studying in Ming China and Joseon Literary Intellectual's Opinion on Studying in Chin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6
39P 미리보기
조선의 對明 遊學 요청과 중국 유학에 대한 조선 문인의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9호 / 138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덕수

    초록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중국 국자감 입학 및 제과 응시를 통해 선진 문물을 습득하고 국제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했다.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중국 유학은 고려 말까지 지속되다가, 공민왕 때 金濤가 명나라 제과에 합격한 것을 끝으로 한 번도 재개되지 않았다. 명 환관과 사신의 살해, 공민왕 시해 사건 등이 겹치면서 양국 관계가 경색된 데다가 명 태조가 <皇明祖訓>에서 조선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다. 고려 조정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 유학의 염원은 수포로 돌아갔다. 조선에서도 학문의 심화, 漢語와 吏文 습득을 위해 명에 유학생을 파견하고 싶었다. 태종 때 처음 논의를 시작했다가 세종과 세조, 중종 연간에는 외교문서를 통해 북경 국자감이나 요동 향학 입학을 공식적으로 요청했으며 임란 직전에도 유학에 대한 논의를 재개한 적이 있다. 명 측은 매번 터무니없는 이유를 대며 조선의 요청을 거부했다. 조선 후기 문인들 중에 중국 유학의 전통과 단절에 대해 의견을 개진한 자가 많다. 柳夢寅, 李瀷, 朴趾源, 丁若鏞, 李圭景, 金允植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실학자로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이들은 공히 조선 선비의 의기가 편협해지고 재주와 안목이 위축됐으며 문학과 학문까지 침체됐다고 진단하면서 그 주요 원인을 중국 유학 단절과 그로 인해 심화된 조선 사회 전반의 폐쇄성에서 찾고 있다. 조선의 학술과 문예 수준을 중국 유학의 단절로서 설명한 일련의 견해들은 조선 지성사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유의미한 단서를 제공한다. 자국 학생을 해외로 적극 파견함으로써 견문을 확장하고 선진 문화를 흡수하는 것이 부국강병의 초석이라는 주장은 작금의 현실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초록

    Our country focused on acquiring advanced culture and cultivating people of international talent by entering Guozijian(國子監) of China and by taking imperial state examination(制科). The tradition of studying in China that began in the Silla Dynasty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tradition ended when Kimdo(金濤) passed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Ming Dynasty during the King Gongmin reign. That's because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tight as eunuch and envoy of the Ming Dynasty were murdered, and King Gongmin was assassinated, and Ming Taizu expressed negative opinions about Joseon in <Huang-Ming zuxun(皇明祖訓)>. Despite many efforts of the court of the Goryeo Dynasty, the desire to study in China proved fruitless. The Joseon Dynasty also wanted to send students to the Ming Dynasty to acquire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Yimun(吏文). It was first discussed during the King Taejong reign. During the King Sejong, King Sejo and King Jungjong reigns, Joseon requested to accept Joseon's students in Guozijian or Yodong Hyanghak via diplomatic documents. The issue on studying in China was discussed right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Ming Dynasty rejected Joseon's requests by stating reasons that lacked relevance. There were many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at expressed opinions about the tradition of studying in China and its severance. Those scholars are Yu Mong-in(柳夢寅), Lee Ik(李瀷), Park Ji-won(朴趾源), Jeong Yak-yong(丁若鏞), Lee Gyu-gyeong(李圭景) and Kim Yun-sik(金允植). Most of them were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they diagnosed that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士風) was prejudiced, and that the level of Confucianism, Chinese classics and poetic literature was recessed. They found the main reasons from the absence of those who studied in China. The argument that expanding knowledge and accepting advanced culture by sending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to study can be the foundation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implies a lot even in the current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