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명시력 역서에 수록된 절후월령의 시간문화 양상 (A Study on Seasonal and Time Cultures in the Myong‒si Calendrical Books during Daehan Empire)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9
52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명시력 역서에 수록된 절후월령의 시간문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0권 / 3호 / 8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본고에서는 역서에 투영된 절후월령의 시간문화 양상을 살펴보는 일환으로 조선후기 시헌력의 전통을 계승하되 서양의 태양력을 결합한 대한제국기 <명시력>을 통해, 그 역면의 구성 범주와 월령적 시간요소를 고찰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기존 우리 학계가 조선 후기 역서의 기본을 대개 청나라에서 도입한 <시헌력>을 위주로 제시하는 것에 대해 일정한 문제제기를 하고서, 그보다는 대한제국기 전후에 반포 사용한 조선자주적인 <명시력>의 이름을 더욱 주목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말 대한제국 시기 명시력의 성립 과정을 살펴보았다. <명시력>이란 역서명 전후 과정을 보면, 자주적 개국기년법을 적용한 단계(1895, 을미력), 시헌서가 아닌 시헌력으로 개정하고 서양 태양력을 도입한 단계(1896, 병신력), 독자 연호 건양을 적용한 단계(1897, 정유력), 명시력으로 개력하고 광무 연호를 사용한 단계(1898, 무술력‒1907, 정미력), 융희 연호 명시력 단계(1908, 무신력), 명시력 명칭이 제거된 단계(1909, 기유력; 1910, 경술력) 등으로 변폭이 크다.
    둘째, 명시력의 역면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이 <명시력>에 수록된 시간문화 요소는 연단위, 월단위, 일단위 및 통년단위로 1년 역일, 연신방위도, 월건, 월삭, 12건제, 국가왕실제일 등 약 47종의 역주(曆註)로 구성되어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 시간문화 요소를 내용별로 대별하고자, 천문역법 측산에 의한 천체학 범주, 기상물후학적 관찰에 의한 자연학 범주, 역신 중심의 술수학 범주, 제례 중심의 의례학 범주의 네 갈래 분류로 범주화하여 보았다.
    셋째, 이 범주구성을 따라 태양과 달에 의한 천문역법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술수학적 역신의 경우, 연단위에 적용되는 32종의 연신과 16종가량의 매년 길흉신 등으로 추출하였고, 제사하기 좋은 날, 출행하기 좋은 날 등 매일 기재되는 의불의 요소가 27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가제례와 왕실제례가 1년간 110건이나 기재되어 있어 3일에 한 번꼴로 거행되는 빈도를 보였으며, 국가제일, 왕실의 탄신일, 기신일, 기념절일 등 그 구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역서의 월령적 시간 요소 몇 가지를 살펴보았으며, 음력 월일 중심의 역년 구조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 유행하는 쌍춘년 풍속이 성립할 수가 없음을 고찰하였고, 1년 24절기와 72후법이 지닌 천문학과 자연학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상당히 난해하고 복잡한 고찰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대 명시력 역서가 지닌 천문학적인 의의와 인문학적 면모를 어느 정도 드러낼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factors from the calendrical books called Myeongsiryeok(明時曆) during Daehan Empire(大韓帝國) which combined the western solar calendar with the late Choseon calendar affected by Qing China. This calendar is important because of various cultural aspects it contains, such as traditional astronomy or royal ritual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shows the history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this calendar(1895‒1910) and configuration of calendrical elements. It has 47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the sexagenary cycle of the month and the dates of royal ancestrial rituals, which can be divided into 4 categories; astronomical, natural philosophical, occult, and ritual factors.
    The next part focuses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se 4 categories. There are many culturally important factors in the calendar.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royal ritual containing anniversary of formal King and Queen’s death and birthday were 110 times a year, which means there was a ritual every three days on average.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reveals the astronomical significance and humanistic aspect of the traditional calendar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