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야구선수 장훈과 본명 호명 운동 ―1970~1980년대 재일조선인 잡지를 중심으로― (Baseball Player Jang Hoon and the Movement for Using “Real Names” -Magazines for Koreans Residing in Japan in the 1970s–1980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2
20P 미리보기
야구선수 장훈과 본명 호명 운동 ―1970~1980년대 재일조선인 잡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文化學報 / 88호 / 27 ~ 46페이지
    · 저자명 : 임상민

    초록

    本稿では日本で本名と国籍を堂々と名乗りながら活躍している在日朝鮮人の野球選手・張本勲を中心に、このよう な特権的な身体が大阪の人権教育の現場でどのように活用・流用されているかを考察した。 その結果、1980年代初頭に日本の大阪の中学校の漫画研究会が人権教育の目的として制作した『張本勲●怒り の球譜』では、本名を堂々と名乗りながら、いかなる差別や不条理にも妥協しない「強い人間」としての張本勲は、 同時代大阪の同和教育と外国人児童の教育が理想的に追求する「差別に負けない強い人間」と合致する身体の所 有者と言える。しかし、漫画の中では「強い人間」としての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を強調するあまり、「弱い人間」とし ての子供達の存在自体を否定する危険性が含まれていた。 また、同時代に日本人教師を中心にして展開された「本名を呼び名のる運動」は、大阪の中でも人権教育がまとも に行われていない学校や在日の過疎地域では正常に機能していなかったことから、同運動に内在する民族的アイデン ティティの暴力性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のである。

    영어초록

    This study which focuses on Jang Hoon, a Korean residing in Japan and a baseball player, who proudly uses his Korean name (“real name”), states his nationality, and takes an active part in Japanese society. The study analyzes how such a privileged body has been used and misused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Osaka. Comics of Jang Hoon produ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ve emphasized that claiming one’s national identity and proudly using one’s real name make one a “strong human being.” This has caused confusion for Korean children in Japan as this implies that they are “weak human beings.” In addition, this movement of contemporary Japanese teachers to call Korean children by their real names is typically ineffective in schools where there has been no proper human rights education as well as in areas of Japan where few Koreans reside, including in Osaka. This demonstrates the violence to national identity inherent in the “real name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文化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