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영리법인 명의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에 대한 규제와 사법적 판단에 관한 고찰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명의 의료기관과 의료법인 명의 의료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gulations and Judicial Judgments Regarding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under the Name of Non-Profit Corporation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Medical Institution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비영리법인 명의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에 대한 규제와 사법적 판단에 관한 고찰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명의 의료기관과 의료법인 명의 의료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67호 / 249 ~ 282페이지
    · 저자명 : 백경희, 김자영

    초록

    현행법상 비영리법인의 명의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명의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와 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명의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대법원은 종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형식적으로 적법한 의료기관 개설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비의료인이 의료기관 개설·운영에 주도적인 입장을 지니게 되었다면” 비의료인이 사무장병원을 개설한 것으로 무자격자에 의한 의료기관 개설·운영에 해당한다는 ‘주도성의 법리’를 토대로 판단하여 왔다. 다만 대법원은 의료법인 명의 의료기관 개설의 경우 ‘의료법인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사건의 구체적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다수의견은 의료법인 명의의 의료기관의 경우 의료법인이 지니는 특수성에 의거하여 의료기관 개설·운영 규제 위반에 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의료법인은 의료생활협동조합과 달리 법적 성질이 재단법인이고, 의료법상 별도의 의료기관 설립과 관련된 인적·물적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료법인은 주도성의 법리만으로 의료기관 개설·운영의 불법을 판단하기 쉽지 않은 부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다수의견이 주도성의 법리 외에 의료법인에 특수하게 적용되는 새로운 추가 기준을 제시한 것은 일견 타당하다고 보인다. 한편 반대의견은 새로운 추가 기준이 민사법에서 예외적으로 적용되는 법인격 부인론을 차용하는 것으로서, 형사처벌의 범위가 좁아지고 영리법인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법인격 부인론 요건 자체에 대해서도 통일된 의견이 없을 뿐만 아니라, 법인격 부인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유사한 판단 근거를 설시하였다는 것만으로 다수의견이 법인격 부인론을 적용한 것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의료법인의 경우 의료생활협동조합과 같이 조합원의 이익을 위한 목적으로부터 설립된 것이 아니고, 의료법 자체에서도 별도의 조문을 통하여 공공성과 비영리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의료법인 제도 자체가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의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므로,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할 때 다수의견이 제시하는 새로운 기준을 통하여 개설·운영 규제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의료법인에 대한 규제 외에 의료법인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게 지역의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Representative examples of opening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name of a non-profit corporation under the current law include opening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name of a consumer life cooperative established under the Consumer Life Cooperative Act and opening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name of a medical corporation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there is.
    The Supreme Court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ruled that “if it appears to be a formal opening of a legitimate medical institution, but in reality a non-medical person has taken a leading role in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the non-medical person is considered to have opened an office manager hospital. While judging based on the ‘legal principle of initiative’ that it corresponds to operation, in the case of opening a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name of a medical corporation,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individual case were taken into overall considera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corporation’.
    However, in the Supreme Court's unanimous decision, the majority opinion proposed new standards for violating regulations on opening and operating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for medical institutions under the name of medical corporations, and the dissenting opinion denied corporate personality with respect to these standards. They pointed out that it falls within the legal principles of the law and criticized that it could lead to the phenomenon of medical institutions becoming commercial corporations.
    Unlike medical life cooperatives, medical corporations are different in that in addition to their legal nature as a foundation, the Medical Service Act requires human and material requirem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medical institution. Therefore, medical corporations are not permitted to open and operate medical institutions solely under the legal principles of initiative. It is not easy to judge illegality.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hat the majority opinion through the en banc ruling proposed new additional standards that apply specifically to medical corporations in addition to the legal principle of initiative. Meanwhile, the dissenting opinion points out that the new additional standard proposed by the majority opinion borrows the theory of denial of corporate personality, which is applied exceptionally in civil law, and that there is a risk of narrowing the scope of criminal punishment and creating for-profit corporations. Not only is there no unified opinion on the requirements themselves, but terms such as ‘concretization’ are mainly one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nial of corporate personality theory, and because these terms have already been used in the legal doctrine of legal personality in the past, they are terms used in the theory of denial of corporate personality.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majority opinion applied the denial of corporate personality just because a similar basis for judgment was presented.
    Moreover, in the case of medical corporations, they were not established for the benefit of members like medical life cooperatives, and the Medical Service Act itself not only emphasizes publicness and non-profitability, but was also introduced to bridge the medical gap between large cities and local cities. As it is a system,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violation of the opening qualifications through the new standards suggested by the majority opinion of the en banc ruling.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for measures to ensure that the medical corporation system can fulfill its role as a local public medical institution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medical corpor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