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庵 鄭栻의 漢詩 硏究 (A Study on Chinese poetry of Myeongam Jeong-Si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8.12
33P 미리보기
明庵 鄭栻의 漢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3호 / 159 ~ 191페이지
    · 저자명 : 정시열

    초록

    본고는 18세기 영남 지방의 선비였던 明庵 鄭栻(1683-1746, 숙종9-영조22)의 詩作에 나타난 隱逸之士的 특성에 대한 입체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志節에 있어서 대단히 강개한 측면을 지니고 있었는데, 청나라가 들어선지 약 40년 후 출생했으나, ‘明庵’이라는 그의 호에서 드러나듯 여전히 명나라를 숭모와 추앙의 대상으로 여기는 데 변함이 없었으며, 평생 동안 벼슬을 거부한 채 초야에서 獨也靑靑의 志士로 살다 갔다. 당시 명암이 살던 晋州 권역은 남명 이후 실천적 도학의 분위기가 팽배했던 지역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은거는 명암이 택한 실천적 행동의 한 양상이었으리라 유추할 수 있다.
    명암의 시에 대해서는 여러 방향에서 논의가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세상에 대한 그의 자세, 즉 은거라는 측면과 관련해서 작품을 살폈다. 둘째, 시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단순히 은거시를 검토한다는 평면적인 관점에 머물지 않고, 당당하고 거침없는 無碍人의 기상, 閑居에 내재된 자기 연민과 우울의 감정, 그리고 사물에 대한 섬세한 묘사와 情感의 표출이라는 세 항목이 서로 有關함을 밝히고, 이들 각각에 대해 차례로 탐색하는 입체적인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uniljisa (a scholar who lived in a hidden place) demonstrated in the poems of Myeongam Jeong-Sik (1683-1746, the 9th year of King Sukjong to the 22nd year of King Yeongjo), who was a scholar in the regio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Myeongam Jeongsik had a very righteous aspect in terms of integrity. He was born about 40 years after the Ching Dynasty was established. However, as shown in his pen name of ‘Myeongam’, he still used the Ming Dynasty as a subject of adoration and reverence, and he lived as an integral man of scholarly virtue in seclusion while refusing to have a government post during his lifetime.
    In his poems, there may be various discussions, but this study focused on following two aspects. First, the study reviewed his attitude toward the world, that is a retiring attitude, in looking into his works. Second, the study did not merely keep the existing two-dimensional perspective in simply reviewing a hermitage poem in the analyzing of a poem. Instead, the study attempted a three-dimensional review in seeking to see whether three items involving the fidelity and integrity of a dignified and daring person (a person who does not care about worldly views), the ambivalent emotion of Jo Wul reflected in the poem, and the delicate description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are placed in a serial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