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句六名에 대한 연구 (Understanding of SAMGURYUKMYO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三句六名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7호 / 375 ~ 408페이지
    · 저자명 : 손종흠

    초록

    신라 때부터 만들어지고 불렸던 향가에 대한 언급으로 『均如傳』에 등장하는 표현인 삼구육명에 대해서는 그 동안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료의 부족과 표현의 간명성으로 인한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까지 이렇다 할 정설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삼구육명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첫째, 향가의 형식에 국한시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 둘째, 민족시가의 보편적인 형식에 대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 셋째, 신라와 고려의 음악과 관련을 가지는 음악적 단위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등으로 종합해 볼 수 있다.
    필자는 삼구육명은 민족시가의 형식적 특성에 대한 표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그것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는 한국어가 지니고 있는 언어적 특성과 결부시켜서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삼구육명과 대비되는 표현으로 등장하는 五言七字의 의미를 함께 고찰하는 것 또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오언칠자는 중국 한시의 형식적 특성을 지칭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삼구육명은 한국 시가의 형식적 특성을 지칭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데, 그럴 경우 오언칠자는 중국어의 특성과 연결시켜 해석해야 할 것이며, 삼구육명은 우리말의 특성과 연결시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으로 접근할 때 오언칠자에서 五言은 한시의 聲韻을 의미하고, 七字는 한시의 형태를 지칭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구육명에서 三句는 하나의 행을 이루는 句의 숫자를 의미하고, 六名은 구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名의 숫자를 의미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삼구육명이란 표현은 향가의 형식적 특성만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 민족시가의 형식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볼 때 한국 시가는 하나의 행이 세 개의 구로 형성되며, 하나의 구는 두 개의 명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칭한 것이 바로 삼구육명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게 된다.
    行의 주기적 반복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우리 민족의 시가는 불교사상이 중심을 이루던 남북국시대와 고려시대까지는 삼구육명의 형식이 중심을 이루었고 儒學을 정치이념으로 하던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행이 네 개의 구와 여덟 개의 명으로 구성되는 四句八名의 형식이 중심을 이루는 방식으로 발전해 온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amguryukmyong(三句六名) is a template of rhyme in Hyangga which is the Korean Siga(詩歌) sung during the Silla period, and is concisely mentioned in Kyunyeogeon(均如傳).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thrive to define and clarify the meaning of Samguryukmyong from various aspects. The definition still, however, remains unclear due to lack of records and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it from Kyunyeogeon. At the end, these studies have come to bring out three feasible ways of how to interpret Samguryukmyong; restricting its meaning within the boundary of Hyangga(鄕歌), or considering it as one general trend of the Korean Poetry, or as one sort of music from the Silla and Goryeo dynast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started by looking at Samguryukmyong as one kind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as well as by relating to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order to enlighten this hypothesis, Ounchilja(五言七字) might need to be taken into the place, which has comparable characteristics to Samguryukmyong. Since Ounchilja and Samguryukmyong are regarded to re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Hansi(漢詩), and of the Korean Siga each, it is reasonable for them to be interpreted with consideration of each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of the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un(五言) of Ounchilja indicates Seongun(聲韻) of Hansi, and chilja(七字) can be interpreted to point out a structural feature of Hansi. Similarly, Samgu(三句) of Samguryukmyong implies Gu(句) that builds up Haeng (行), and Ryukmyong(六名) means the number of Myong(名), which is a component of Gu. Therefore, Samguryukmyong does not only invol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yangga, but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as well. From this fact, Samguryukmyong can conclude that one Haeng in the Korean Poetry is composed of three Gus and one Gu is made up of two Myongs.
    In the North and South Kingdom Period and the Goryeo Period where Buddhism was a central religion, Samguryukmyong was the main trend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that has distinctive features of consistent repetition of Haeng. Different from that, Joseon that accepted Confucianism as political ideology, appeared to create Sagupalmyong(四句八名) where four Gus and eight Myongs produce Hae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