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논어> 「學而」 및 「不知命」章 주석에 대한 고찰 (Dasan's commentary on The Meaning of learning(學) and ming(命) in Confucius Analects analect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lt;논어&gt; 「學而」 및 「不知命」章 주석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9호 / 531 ~ 561페이지
    · 저자명 : 임헌규

    초록

    『논어』의 시작이 되는 「학이」1:1은 學을 통하여 군자에 도달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면, 마무리가 되는 「요왈」20:3은 군자의 요건을 진술하는 것으로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구절이다. 이 글의 목표는 이 두 구절에 대해 다산의 주석이 지닌 의의를 古注 및 朱子의 주석과 대비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논어』를 시작하는 장과 마치는 장에 대한 고주 및 주자의 주석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다산의 비평과 주석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먼저 「학이」1:1장에 대해 고주는 선왕의 경업을 평생ㆍ연중ㆍ일중에서 연령-시기별로 誦讀ㆍ修習하여, 師ㆍ長ㆍ君으로 성장하는 과정에 대한 기술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주자는 여기서의 學은 자기완성의 聖學으로서 天命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본성의 선을 밝혀 그 처음을 회복하는 것이며, 이 장은 자기완성(成己)에서 시작하여 남에게 미치고(及人), 그런 다음 덕을 완성(成德)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다산은 전체적인 구조상에서는 주자의 해석에 동의하지만, 여기서 제시된 學의 개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여, 주자가 미미한 것으로 간주한 어떤 대상에 관한 학(농학 등)에 대해서는 그것이 지닌 본래의 지위를 회복하려고 시도하였다.
    마지막 장(不知命)의 해석에서 고주는 여기서의 命을 窮困ㆍ顯達의 天分으로 해석하였고, 주자 또한 氣의 측면으로 사생ㆍ요수ㆍ부귀ㆍ귀천의 運命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런데 다산은 경전에 제시된 命은 이러한 운명의 개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하늘의 명령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내재적인 命(天命之謂性)의 의미를 우선적으로 제시하여 이 구절을 해석하였다. 다산은 이러한 命개념 재정립은 군자를 주체적 자각적 인간으로 재정립하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하겠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s aim is to contrast Dasan's commentary with Chu-tzu' and old commentary on The Meaning of learning(學) and ming(命) in Confucius Analects analects.
    Confucius Analects analects began with Confucius said, "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1:1), and closed with Confucius said, "Without recognizing the ordinances of Heaven, it is impossible to be a superior man.
    We can consider Confucian analects as theory of science. I`ve tried to define the meaning of learning(學) in Confucius Analects, at first. The Meaning of learning in Confucian analects have 1) Technology, 2) the way of human relation, 3) liberal ar, and 4) 'learning to become a sage. Chu-tzu defines learning(學) in Confucius Analects as 'learning to become a sage'. Dasan's considered learning(學) as science in general.
    Chu-tzu' and old commentary defined zhiming(知命) in Confucius Analects is 'to know the fact that there is destiny in man's life(ex, life and death). Dasan reinterpreted ming(命) in Confucius Analects as human mind-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