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Consideration of Major Inland Divergence of Sea Route Envoy to Ming Dynasty during Transition Period of Ming-Qing Dynasty)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8
60P 미리보기
明・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66호 / 397 ~ 456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형

    초록

    해로 사행기는 기존의 육로 사행기에 비하여 주요 분기처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기 노정이 있었던 점이 특징이다. 登州 경유 노정은 ‘登州-鄒平-濟南-德州-河間府-蘆溝橋-北京-蘆溝橋-河間府-德州-濟陽-鄒平-登州’로 이동하는 노정이 대표적이었고, 寧遠衛 경유 노정은 ‘寧遠衛-山海關-永平府-通州-北京-通州-永平府-山海關-寧遠衛’로 이동하는 노정이 대표적이었다.
    주요 분기 노정별 특징을 살펴보면, 濰縣 분기 노정은 北京에서 운하 연변의 육로를 따라 귀국할 때 滄州에서 濰縣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이용되었다. 鄒平 분기 노정은 北京으로 이동할 경우 濟南을 경유하기 위해서 이용되었고, 귀로에서는 濟陽을 경유하는 間路를 이용해서 왕환에 서로 다른 노정이 이용되었다. 德州 분기 노정은 동계에는 河間府를 경유하는 육로 노정으로 분기되었고, 하계에는 天津을 경유하는 운하 노정으로 분기되었다.
    天津 분기 노정은 南運河나 海河를 경유해서 天津에 도착한 뒤에 通州로 이동할 경우 육로나 운하 노정을 이용했다. 또한 귀로는 육로를 이용해서 운하 연변을 따라 滄州로 이동하거나 연안항로를 이용하기 위해서 海河를 따라 이동해서 다른 분기처에 비하여 가장 다양한 분기 양상을 보였다. 北京 분기 노정에서 蘆溝橋를 경유했던 노정은 北京城의 서쪽에 도착했어도 동쪽으로 이동해서 朝陽門을 경유해야 했다. 귀로에서는 玉河館 근처의 崇文門에서 蘆溝橋 경유 노정과 通州 경유 노정으로 분기되었다.
    山海關 분기 노정은 後金의 위협으로 육로 노정을 이용하지 못할 경우에 연안항로를 이용해서 天津이나 覺華島로 이동했던 분기처였다. 通州 분기 노정은 관내 육로 노정을 이용하거나 天津을 경유할 수 있는 분기처로, 기존 육로 노정에서도 중요한 경유지였기 때문에 조선의 사행사를 접대했던 중국인 舊主人과 재회와 우의를 확인 할 수 있는 장소였다. 通州 東門에서 관내 육로 노정과 天津 경유 노정으로 분기되었다.
    해로 사행로가 다양하게 분기된 이유로, 우선 해로 사행은 兼行이나 同行이 많았기 때문에 支供과 護行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서로 다른 노정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계절적 원인으로 하계에는 운하 노정이 이용되었고, 동계에는 육로 노정이 이용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後金의 위협이나 明의 내란 등으

    영어초록

    Sea route travel essay is characterized by diversified divergences based on major diverged points compared with existing inland travel essay. In case of a route via Deungju(登州), a route moving through ‘Deungju(登州)-Chupyong(鄒平)-Jenam(濟南)-Dokjju(德州)-Haganbu(河間府)-Nogugyo(蘆溝橋)-Bukkkyong(北京)-Nogugyo(蘆溝橋)-Haganbu(河間府)-Dokjju(德州)-Jeyang(濟陽)-Chupyong(鄒平)-Deungju(登州)’ was typical and among routes via Yongwonwi(寧遠衛), a route moving through ‘Yongwonwi(寧遠衛)-Sanhaegwan (山海關)-Yongpyongbu(永平府)-Tongju(通州)-Bukkkyong(北京)-Tongju(通州)-Yongpyongbu(永平府)-Sanhaegwan(山海關)-Yongwonwi(寧遠衛)’ was typical.
    When observing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diverged route, Yuhyon(濰縣) divergent route was just used in case of moving from Changju(滄州) to Yuhyon(濰縣) when homecoming along canal side inland from Bukkkyong(北京). Chupyong(鄒平) divergent route was used for passing through Jenam(濟南) in case of moving to Bukkkyong(北京) and on the way back, different route was used for travel through side route via Jeyang(濟陽). Dokjju(德州) divergent route was diverged to inland route via Haganbu(河間府) during winter season and canal side route via Chonjin(天津) during summer time.
    As Chonjin(天津) divergent route, inland or canal route was used in case of moving to Tongju(通州) after arriving at Chonjin(天津) via Namunha(南運河) or Haeha(海河). In addition, as a way back, most diversified divergences were represented compared with other divergent points by moving Changju(滄州) along canal side using inland or moving along Haeha(海河) in order to use coastal sea route. In case of having arrived at the western side of Bukkkyongsong(北京城) via Nogugyo(蘆溝橋) in Bukkkyong(北京) divergent route, Joyangmun(朝陽門) was required to be passed after moving to the east. On the way back, at Sungmunmun(崇文門) around Okagwan(玉河館), such way was diverged into a route via Nogugyo(蘆溝橋) and that via Tongju(通州).
    Sanhaegwan(山海關) divergent route was divergence point of moving to Chonjin(天津) or Gakwado(覺華島) by using coastal sea route in case of not being able to use inland route by threat of Hugeum(後金). Tongju(通州) divergent route was used for inland route or that via Chonjin(天津) and as it was important stopover among existing inland routes, reunion and friendship with old Chinese master who served Choseon(朝鮮) envoy could be confirmed at this place. Tongju(通州)’s east gate was diverged to inland route and a route via Chonjin(天津).
    The reason why marine envoy travel route was diverged in diversified ways was that marine envoy route chose different route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ransport as many subsidiary duties or accompaniment were involved in it. As a seasonal reason, during summer time, canal route was used and during winter time, inland route was used. Finally, as envoy route was partially blocked by threat of Hugeum(後金) or civil war in Ming(明) dynasty, detoured route was u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