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선(禪)의 위상 - 『종경록』 100권을 중심으로 - (The Status of Chan (禪) and Huayan (華嚴) in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s Thought - Focus on the 100 volumes of Zongjinglu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6.09
22P 미리보기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선(禪)의 위상 - 『종경록』 100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6호 / 139 ~ 160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석

    초록

    이 논문은 중국 법안종(法眼宗)의 선사 영명 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사상 가운데서 화엄(華嚴)과 선(禪)의 위상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단서는 연수가 『종경록(宗鏡錄)』 「자서(自序)」에서 제시한 “일심을 종지로 삼아 만법을 거울처럼 비춘다.[擧一心爲宗, 照萬法如鏡]”는 문구에 포괄적으로 드러나 있다. 연수의 불교사상의핵심 종지는 바로 ‘일심(一心)’에 있는데, 이 일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주는 것이바로 화엄이다. 또한 만법을 거울처럼 비추는 것은 바로 선종의 관심(觀心) 사상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연수의 불교사상에 있어 화엄은 내용적인 기반을 이루고, 선은 방법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화엄(華嚴)에 있어서도 연수는 법장(法藏), 징관(澄觀), 종밀(宗密) 등이 공통으로 제시한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여래장 사상의특징은 진여(眞如)가 불변(不變)과 수연(隨緣)의 두 측면을 모두 갖춘다고 주장하는 데있다. 한편 연수는 당(唐)의 화엄학자들이 유식학을 여래장의 이론으로 회통시키고자하는 시도의 연장선에 서 있다. 그는 여래장 사상의 선구로 알려진 마명(馬鳴)과 유식 사상을 대표하는 호법(護法)을 등장시켜 ‘진여 훈습(眞如熏習)’의 문제를 토론하게 함으로써, 두 학파 간의 철학적 쟁점을 보다 분명히 보여주었다.
    선(禪)의 관심(觀心) 사상은 만법(萬法)의 근원인 일심을 근거로 삼아 불교 전체를 회통시키려는 것이다. 선종사(禪宗史)에서 관심 사상의 중요성은 줄곧 강조되었지만, 연수는 그 사상의 기원에 있어서는 선종보다는 천태종(天台宗)의 창시자인 천태 지의(天 台智顗)의 『관심론(觀心論)』을 더욱 중시하였다. 다만 천태의 학설은 성구설(性具說) 에 기반하는 반면, 연수는 화엄의 여래장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결론적으로 보면, 연수의 사상 체계에 있어서는 화엄을 비롯한 제반 교학이 그의 관심의방법 속에서 통합되어 기능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ain Chan (禪) and Huayan (華嚴) based on the thoughts of Chan master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 904-975) of the Chinese Fayan school (法眼 宗). From a phrase mentioned in the preface of Zongjinglu (宗鏡錄), it is clear that “Based on Ilsim (One mind), we should illuminate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擧一心 爲宗, 照萬法如鏡).” The essence of Yanshou's Buddhist thought is “One mind (一心).” Huayan explains this thought in detail. He also explains that “illuminates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refers to the notion of the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of the Dhan school. From this viewpoint, it is possible to see that Yanshou's Buddhist thought was based on Huayan, and that Chan supplied the methodological base.
    However, Yanshou based his Tathāgata-garbha thought on Huayan (華嚴) like Fazang (法藏), Chengguan (澄觀), and Zongmi (宗密). The characteristic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如來藏), are that it includes all aspects of changelessness (不變) and participation in change (隨緣). Meanwhile, Yanshou tried to merge the theories of the Yogacara school with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like the Huayan scholars of Tang (唐) dynasty. He introduced Asvaghosa (馬鳴) - a pioneer of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 and Dharmapala (護法) - a representative of Yogacara thought. They discussed about the subject of ‘Tathatāgata's succession (眞如熏習)’ and brought forth the philosophical issues between the two schools.
    Chan (禪)'s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was based on Ilsim (One mind) - the origin of all the dharmas - and tried to harmonize all the Buddhist schools. In the history of the Chan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s been continued, but Yanshou focused on the Contemplating mind theory (觀心論) of TiantaiZhiyi (天台智顗) - the founder of Tiantai school (天台宗) - more than on that of the Chan school.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Tiantai based his thought on the theory of the true nature endowed with everything (性具說), such as the single-minded focus of the ardent mind with three thousand categories of existence (一念 三千說), but Yanshou based his thought on Huayan's Tathāgata-garbha thought.
    Yanshou's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rmonizes all the dharmas into the mind and it is the principle based on which the 100 volumes of Zongjinglu were compile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