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사론』과 『성유식론』의 명(名) ·구(句)·문(⽂) 논의 고찰 - 『구사론기』와 『술기』의 주석을 토대로 - (A Study on the Discussion Regarding Names (名), Phrases (句), and Letters (⽂) in the Abhidharmakośa-Bhāsya and the Cheng Wei Shi Lun - An Inquiry Based on the Jushelunji and Shuji Annotation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구사론』과 『성유식론』의 명(名) ·구(句)·문(⽂) 논의 고찰 - 『구사론기』와 『술기』의 주석을 토대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1호 / 191 ~ 217페이지
    · 저자명 : 박재용

    초록

    불교에서 명‧구‧문과 소리[聲] 및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義]를 논하는 것은 중요한일이다. 부처의 가르침이 전승되는 것은 말소리(語聲)로서의 설법이 명‧구‧문을 매개로 하여 의미가 전달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아비달마 불교에서는 명‧구‧문과 소리[聲] 중 어느 것이 실법이고 가법인지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있어왔다. 이런 경향은 유식에도 이어져서 성유식론에서는 아비달마의 실유사상을 비판하는 가운데 명‧구‧ 문과 소리[聲]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 구사론에서는 명‧구‧문과 소리[聲]의 관계에 대해 유부와 경량부의 대론을 전개하고 있는데, 세친은 명‧구‧문이 실법(實法)이 아니라 가법(假法)이라는 경량부의 주장에 초점을 맞춘다. 성유식론에서도 명‧구‧문의 실유를 비판하면서 이를 가법에배대하고 있는데, 명‧구‧문이 가법이라서 무용하다는 경량부의 입장에 반하여 명‧ 구‧문이 가법임에도 소리 상의 굴곡(屈曲)을 반영하기 때문에 의미를 전달하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이 점에서 경량부와 유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명‧구‧ 문을 가법으로 보는 경량부에서는 무상한 말소리가 어떻게 취집하여 우리에게 이해되는지를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성유식론 및 주석서에서는 이를 5심(五⼼)의 취집현현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양 학파에 근본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명‧구‧ 문과 그 의미를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 경량부와 유식의 차이를 잘 드러내는 것이라고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부와 유식에서 소리[聲] 및 명‧구‧문이 지칭하는 의미[義, artha]를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유식에서는 대상[境, artha]이 곧 의미[義, artha]라는양의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오직 식뿐’이라는 유식의 특징을 명‧구‧문 논의에서도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names, phrases, and letters as well as the sounds of one’s voice is important to the Buddhist view of languag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Buddha's teachings, the way the teaching is expressed through names, etc. is a matter that must be considered to clarify the nature of Buddhism. Amongst Buddhist scholars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about whether names etc. are representative of real dharma or nominal dharma, and what that means regarding the essence of Buddhism. The Shuji commentaries in tro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names, phrases, letters and sounds when criti- cizing Abhidharma in the Cheng Wei Shi Lun. The Abhidharmakośa-bhāsya develops an argument between the Sarvâstivāda and Sautrântika school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mes, phrases, letters and sounds. Vasubandhu focuses on Sautrântika's assertion that names, phrases, and letters are nominal and not real dharma. The Cheng Wei Shi Lun also criti- cizes the real existence of names, phrases, and letters and matches them with nominal dharma. This simply opposes the Sautrântika position that names, phrasese, and letters are useless, as it argues that they are nominal dharma but are still useful for conveying meaning because it reflects inflection of sound.
    While Sautrântika could not explain how the impermanent sound of one’s voice could be gathered and understood, the Mind-Only school revealed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which is explained with the five minds (五⼼).
    The contents of Cheng Wei Shi Lun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the ar- guments of Abhidharma scholars and those of Dharmaphala are intertwin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names, phrases, letters, and sounds of the voice is considered by referring to the Shuji annotations of the Cheng Wei Shi Lun. These annotations summarize the discussion in five criticisms and four cor rect meanings. This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in detail, the discussion that the sound of the voice is real dharma and names, phrases, and letters are nomi- nal dhar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