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후반 전라도 부안현 호구 및 결가 조사의 실제적 양상 -南下面 訓執 奇幸鉉의 『鴻齋日記』를 중심으로- (Practical Complexion of Census and Land Tax Inspection of Buan Area in the Late 19th Century -Centered on Hongjae Diary written by Namha-myeon Hoonjip, Ki Haeng-hy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7
32P 미리보기
19세기 후반 전라도 부안현 호구 및 결가 조사의 실제적 양상 -南下面 訓執 奇幸鉉의 『鴻齋日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3호 / 187 ~ 218페이지
    · 저자명 : 김영준

    초록

    라도 부안현 남하면에 살았던 기행현은 1866년부터 1911년까지 『홍재일기(鴻齋日記)』를 썼다. 그는 당시 부안현에서 훈집(訓執), 사수(社首), 훈약(訓約), 훈약장 등 여러 직책을 지냈는데, 그 때마다 자신이 했던 일들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이 때문에 『홍재일기』는 부안현 면리 단위에서 일어난 행정의 실제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자료로 평가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가 훈집으로 활동했던 1880년 후반부터 1890년 초반까지 내용을 중심으로 당시 행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조세제도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훈집은 읍지에서 각 면에 1명씩 배치되어 규검(糾檢) 및 풍속과 기강을 맡은 직책이나, 고문서에서는 부안현의 호구와 그 해 토지 상황을 조사할 때 담당색리들을 보좌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홍재일기』에서는 고문서에 나타난 훈집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즉 훈집 기행현은 부안현과 민들 사이에서 조세 업무, 즉 호구조사와 결가를 조사하고 산정하는 교량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호구조사 과정을 살펴보면 법으로 정한 식년보다 대략 6개월 정도 일찍 시작되었다. 훈집은 면내의 훈약장 및 담당색리들과 집호(執戶) 수를 산정하였다. 집호는 호역을 부과는 호수를 파악하는 것으로 실제 호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었다. 집호가 이루어진 후 이들에게 동포 및 군역 등의 호역이 부과되었다. 이후에 면임이 호적문서를 거두어 이듬해 호적을 완성하였다. 이외에도 흉년에 기민을 구휼하거나 또는 조세의 안정적 수취를 위해 비정기적으로 요호부민(饒戶富民)을 파악하여 별도로 성책이 작성되었다.
    결가조사는 5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진행되었다. 7,8월에 관청의 색리들이 그해 농사 현황을 조사하는 추재(秋災)를 실시되었다. 추재는 1~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담당색리는 면을 바뀌어 진행하기도 하였다. 9월에는 추재를 바탕으로 재책(災冊)을 완성하였고, 이후 관에서는 재책과 결부의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고복(考卜)을 진행하였다. 이때 민들은 재해를 입은 토지에 대한 조세 감면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이후에 어느 시점에서 결가가 확정되면 12월이나 다음해 1~2월 사이에 개인 또는 마을단위로 현물과 돈으로 납부하였다.

    영어초록

    Ki Haeng-hyeon, who lived in Namha-myeon, Buan-hyeon, Jeolla-do, wrote 『Hongjae Diary(鴻齋日記)』 from 1866 to 1911. At that time, he served in various positions as Hoonjip(訓執), Sasu(社首), Hoonyak(訓約), and Hoonyakjang. The thesis focused on his works between the late 1880s and the early 1890s as Hoonjip(訓執).
    Each Hoonjip(訓執), which was the position that existed only in Buan, was assigned in every myeon, undertaking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custom and ledgers. Moreover, it was responsible for taking the census and investigating the land area. In other words, its duty was to act as a bridge in the course of receipt of taxes in Buan-hyeon.
    The census process started about six months earlier than the legally defined year. The number of Hoonyakjang, petty officials in charge(色吏), and Jipho(執戶) within the myeon was determined to exact statute labor. Afterwards, Hogudanja(戶口單子) was collected to complete the family register. In addition, a book was separately written by identifying Yohobumin(饒戶富民) on an occasional basis.
    In terms of land tax inspection, the due date of annual land tax was notified within the myeon in May, and Chuje(秋災) was implemented in August at which petty officials of the provincial town monitored the circumstances of farming practices. Chuje(秋災) proceeded on one to three occasions, while petty officials in charge rotated myeons. Jaechaek(災冊) was completed based on Chuje(秋災) by September, and thereafter, Gobok(考卜) wa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office to ascertain whether the information was true or not. As a result, the amount of land tax, once determined, was paid with either rice or money on a village basis on December or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