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혼합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A Mixed-methods Study of Online Group Art Therapy Using Photography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Focusing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8
24P 미리보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혼합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예술치료학회지 / 23권 / 2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왕붕, 김현미

    초록

    본 연구는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SPSS 26.0 프로그램으로 검증하고 추후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것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2개 대학, 부산, 공주, 대구, 전주 각각에 있는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24명 중 두 집단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A, B에서 회기에 온전히 참석한 8명을 임의추출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후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전, 사후검사에서 점수 차이가 많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에 따른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주 2회, 회기 당 90분씩 총 8회로 2023년 6월 30일부터 7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연구자가 아닌 미술치료사가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 사후검사의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기타 모두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방 코딩 분석 과정을 통해 ‘회기에 점진적으로 적응해 나아감’,‘사진의 장점을 활용하여 쉽게 표현하는 자유를 누림’,‘사진을 통해 잊었거나 놓쳤던 것들이 되살아나며 새로운 의미가 됨’,‘집단미술치료 회기에서 연결감과 위로를 얻음’,‘나를 새롭게 보고 미래를 꿈꾸는 힘을 얻게 됨’으로 5개의 상위 범주, 12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group art therapy, utilizing photographs, on the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study employed the SPSS 26.0 program to valid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and conducted an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Eight participants who fully attended the session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wo experimental groups, A and B, comprising a total of 24 Chinese 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two universities in Seoul and one university in Busan, Gongju, Daegu, and Jeonju. Dynamic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three participants who exhibited signif icant differences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online art therapy using photography was administered by a qualified art therapist, who was not the researcher, over a span of approximately one month from June 30 to July 26, 2023. The therapy consisted of 8 sessions, each lasting 90 minutes, conducted twice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notable decrease in total score on the Acculturation Stress Measurement Tool, as well as its subfactors, which included perceived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ostility, fear, culture shock, guilt, and others. This indicates that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acculturation stress. Secondly, through open coding analysis, five majo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were derived, reflec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the therapy. These categories included ‘gradually adapting to the therapy sessions,’ ‘enjoying the freedom to express themselves easily through photography's advantages,’ ‘rediscovering and finding new meaning to forgotten or overlooked aspectsthrough photography,’ ‘gaining a sense of connection and comfort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d ‘discovering a new sense of self and envisioning the fu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