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 2020년 비대면 운영사례 분석 (Effectiveness of the Childhood Parenting Education Program at Seou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 Case of Online Delivery during COVID-19)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10
30P 미리보기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 2020년 비대면 운영사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26권 / 3호 / 3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재림, 노신애, 박지수

    초록

    연구목적: 공공영역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의 효과성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서울시 전역의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참여자 특성 및 교육 특성별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2020년 6-10월에 서울시 14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한 총 17건의 비대면 아동기 부모교실에 참여했으며,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에 모두 응답한 213명의 자료를 paired t-test와 mixed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프로그램 이전과 비교해 이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 중 양육지식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우울로 분류된 참여자의 변화폭이 그렇지 않은 참여자에 비해 컸으며, 컴퓨터나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교육에 참여한
    집단의 양육지식이 스마트폰으로 참여한 집단보다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코로나19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이 비대면으로 전환된 2020년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을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와 장기적 효과성 추적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Objectives: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hood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hich is part of the Seoul Family School curricula offered at 25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hroughout Seoul.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iveness differed by participant and delivery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unique because of the focus on online delivery of family life education in public agencies during COVID-19. Method: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213 parents who attended one of the 17 online parenting classes offered by 14 local centers between June and October 2020, and who
    also participated in both pre- and post-testing. We used paired t-tests and mixed ANOVA. Results: The participants’ parenting knowledge, efficacy, and stres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for parenting knowledge. Depressed participants experienced greater changes in all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s compared to non-depressed parents. Participants who used computers and tablet PCs to attend the classes reported gaining more parenting knowledge compared to those who used smart phones. Conclusion: This study is a critical step given that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family life education in Korea is extremely limited. We suggest that future effectivenes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rigorous method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longitudinal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