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강변 민통선 지역 주민의 개척의 삶과 경계 넘나들기: 파주 탄현면 지역을 중심으로 (Pioneering Life and Border Crossing of Residents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Area along the Imjin-River- Focusing on the Tanhyeon-myeon Area in Paju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12
48P 미리보기
임진강변 민통선 지역 주민의 개척의 삶과 경계 넘나들기: 파주 탄현면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경계연구 / 2권 / 2호 / 128 ~ 175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우

    초록

    이 연구는 임진강변 민간인통제선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임진강유역을 개척하고 민통선과 임진강, 자유로로 경계가 지어진 터전에서이 경계를 넘나들며 삶을 영위하는 방식과 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접경지역 주민들의 삶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임진강변 민통선에 인접한 탄현면의 마을 주민들은 임진강이라는자연적 경계에 대항하며 개척의 삶을 살았다. 주민들은 자신들의 삶을영위하기 위해 섬들과 임진강유역에 둑을 쌓아 농지를 개간했는데 이를 ‘동막이’라고 했다. 이곳 주민들은 해마다 덮쳐오는 홍수에도 불구하고 허물어진 둑을 보수하면서 차츰차츰 삶의 터전을 넓혀갔다. 이렇게확장된 임진강변의 벌판을 ‘섬벌판’이라고 한다. 이 섬벌판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에도 중요한 생계의 터전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과 휴전 그리고 분단이라는 역사적 사건은 이 지역민들에게 또 하나의 경계를 안겨 주었다. 임진강이 자연적 경계였다면이러한 역사적 상황 변화로 획정된 민통선은 인위적으로 강제된 경계였다. 이러한 경계는 1990년대 건설된 자유로로 인해 극적으로 재현된다. 도로 건설과 함께 장벽이 세워지고 그 도로 장벽은 그대로 민통선이라는 경계로 가시화된 것이다. 자유로, 즉 민통선 너머 삶의 터전인 섬벌판의 유일한 통로는 자유로 밑에 간헐적으로 뚫려 있는 ‘굴다리’이다. 이곳에 농지가 있는 주민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이 경계 넘나들기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임진강이라는 자연적 경계를 넘나들며 생활하였고 분단후에는 민통선이라는 인위적 경계를 넘나들면서 주민들은 그들에게 주어진 한계에 극복하면서 그들의 삶을 지속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aim to find out how residents living in the Civilian Control Line area along the Imjin-River develop the Imjin- River basin, and also examine the ways and processes of leading a life across these boundaries in a land bordered by the Civilian Control Line, the Imjin-River, and Jayu-ro.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lives of residents in the border area.
    The village residents of Tanhyeon-myeon, adjacent to the Civilian Control Line along the Imjin-River, lived a life of pioneering against the natural boundary of the Imjin-River. In order to sustain their lives, the residents built dams on islands and in the Imjin-River basin to reclaim farmland, which they called ‘Dongmaki’. Despite the annual floods, the residents here gradually expanded their living quarters by repairing the collapsed embankment. This expanded plain along the Imjin- River is called an ‘Seombeolpan(island field)’. This island field became an important source of liveliho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ven after liberation.
    However,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nd division brought another warning to the people of this region.
    If the Imjin-River was a natural boundary, the Civilian Control Line demarcated by these changes in historical circumstances was an artificially enforced boundary. This boundary is dramatically reproduced by the Jayu-ro constructed in the 1990s.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a wall was erected, and the road wall became visible as the border called the Civilian Control Line. The only passage to Jayu-ro, the ‘Seombeolpan(섬벌판)’ that is the home of life beyond the Civilian Control Line, is the ‘Guldali(굴다리)’ that is intermittently under Jayu-ro. Residents who have farmland here cross this border several times a day.
    In the past, residents lived across the natural border called the Imjin-River, and after division, they continued their lives by crossing the artificial border called the Civilian Control Line, overcoming the limitations given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