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 변화 (A Case Study on Online Group Art Therapy for Sexuality Awareness of Adult Women: Changes in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5.04
26P 미리보기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예술치료학회지 / 25권 / 1호 / 174 ~ 199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젠더감수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S 대학교 여대생과 대학원생 총 8명이였으며 이들을대상으로 주 2회 8회기(16시간)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지도 그리기, 성역할 고정관념, 성 이미지 콜라주, 바디스캔, 관계에서의 그림자와 페르소나 미술작업 등을 진행하였고 매 회기 도입-주 미술활동-나누기 시간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젠더감수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 관찰 기록지, 미술작품 등을 질적분석하였고 관련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자화상과 나무 그림검사와 PDI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에서 변화가 있었으며 참여자 모두 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섹슈얼리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섹슈얼리티 인식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성인 여성의 젠더감수성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성인 여성의 섹슈얼리티 인식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집단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group art therapy fo cused on sexuality awareness for adult women, specifically exploring changes in their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female under 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from S University. They took part in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whi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16 hours).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xuality awareness included drawing a sexual map, exploring gender role stereo types, creating sexual image collages, body scanning artwork, and art exercises ad dressing shadows and personas in relationships. Each session followed a structured format: introduction, main art activity, and sharing tim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 ducted using session observation records and participants' artworks to examine changes in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dditionally, pre- and post-program scores on relevant scales were compared, and self-portraits, tree draw ings, and the PDI(Post Drawing Inquiry)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mong adult women through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All participants repor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overall sexual awareness after partic ipating in the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itive changes in gender sensitivity and self-esteem among adult women through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sexuality awareness. It also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group art therapy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enhance sexuality awareness in adult women, making it a valuable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예술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