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학습자의 SNS 사용 경험 탐색: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을 중심으로 (Exploring adult learners' experiences using SNS: Focusing on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5
20P 미리보기
성인학습자의 SNS 사용 경험 탐색: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9호 / 443 ~ 462페이지
    · 저자명 : 박선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성인학습자의 SNS 사용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코로나19 상황에 최소 1년 이상 SNS 사용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8명과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면담기록지 등을 통한 삼각검증법과 연구참여자 확인(member check)과정을 거쳐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하였다.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 성인학습자는 현대인으로서 존재 방식의 하나로 SNS를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 경험은 첫째,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는 온라인 사랑방’과 둘째, ‘자기검열을 통해 쓰는 공개 일기장’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사용한 SNS는 시각적 이미지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인스타그램’과 연결된 친구들과 관계망을 확장해 나가는‘페이스북’, 텍스트 중심의 개방형 ‘트위터’ 그리고 친근감을 기반으로 한 폐쇄적인 ‘밴드’였다. 성인학습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공간과의 단절 속에서 SNS에 글이나 사진을 올리는 것은 단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게시글이 공개되고 공유되는환경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생각하였다. SNS는 익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SNS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자연스럽게 드러났다. 관계를 맺기 위해 사생활을 적당히 노출 시키는 등의 공적 영역을 개인의 소유로 만들어 자신을 표현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기 보다는 자신에 대한 타인의 생각을 반영하여 긍정적인 자신의 이미지 형성하려고 연출하였다. 다시 말하면, SNS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는데 있어서 스스로 수준을 조절하며 자기 검열된 선택적표현을 하고 있었다.
    결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확장되는 디지털시대에 성인학습자의 SNS 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 격차나 사회 심리적 욕구 파악, 세대 갈등 등의 사회적인 문제의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에도 유의미할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using SN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Methods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adult learners who have used SNS for at least one year in the COVID-19 situation.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triangular verification and member check were performed through research interview record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dult learners use SNS as one of the ways of existence as modern peopl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Specifically, the experience of use was first, an “online love room that reduces social isolation,” and second, an “open diary written through self-censorship.” The SNS us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Facebook,” which expands the network with friends connected to “Instagram,” which reveals their identity with visual images, text-oriented open “Twitter,” and a closed “band” based on familiarity. Adult learners posting articles or photos on SNS amid the disconnection from offline spaces due to COVID-19 did not just convey messages, but considered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n environment where posts were released and shared. SNS has anonymity, but its identity has been naturally revealed in actions made on SNS. In order to establish a relationship, he expressed himself by making the public domain owned by individuals, such as appropriately exposing their privacy.
    Conclusions In the digital era,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become unclear, the boundari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areas are broken down and expanded, adult learners' understanding of SNS use has expanded. In addi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for basic data that prepare countermeasures for social problems such as information gap, socio-psychological need identification, and generational confli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