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북도 곰소만 일대의 전통 소금(자염) 생산 기록으로 본 현세 후기 해수면 변동 (Late Holocene sea level changes inferred from the traditional salt (Jayeom) production of the Gomso Bay, Kore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6
10P 미리보기
전라북도 곰소만 일대의 전통 소금(자염) 생산 기록으로 본 현세 후기 해수면 변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53권 / 3호 / 377 ~ 386페이지
    · 저자명 : 남욱현, 최정해

    초록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소금은 바닷물을 끓여 증발시켜 얻는 자염이다. 부안과 고창 일대의 곰소만에서는 바닷물을 농축시킨 함수를 얻기 위해서 섯구덩을 만드는데, 이때 섯구덩의 위치는 갯벌 최상부의 사리(대조) 때에만 바닷물이 들어오는 가장 육지쪽 장소를 선택하게 된다. 고문헌 기록을 근거로 고창군 심원면 사등마을의 검당포(검당마을) 일대의 섯구덩의 위치가 역사시대 동안 변하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1900년대 초기에는 검당마을 바로 앞에 섯구덩을 만들었다. 500년 전후 시기에는 백제 때의 제방인 김제 벽골제, 익산 황등제, 정읍 눌제의 위치와 기능을 근거로 섯구덩의 위치가 1900년대 초기의 위치와 거의 유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1500년 전후 시기에는 조선 초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의 기록을 근거로 섯구덩의 위치가 바다쪽으로약 800 m 정도 들어간 곳으로 옮겨졌으며, 1800년대 이후에는 <택리지>(1751)와 <지방지도>의 고부군 지도(1872) 등의 기록을 근거로 섯구덩 위치가 다시 검당마을 바로 앞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1500년대와 1800년대 이후에 섯구덩 위치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해수면 높이의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역사 기록에 의해 추론한 해수면 변화는 지역적이나 전지구적 해수면 변동 양상과 거의 일치한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al salt of Korea is the boiled salt obtained by boiling the sea water. In the Gomso bay around Buan and Gochang areas, people made a salt field on tidal flat sediments to obtain dense salt water.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salt field would be on the most upper part of the tidal flat where the sea water comes in only at the time of spring tides. Based on the records of ancient documents, the locations of the salt field in the area of Gumdang village of the Gomso bay have been changed during the historical period. In the early 1900s, the salt fields were in front of Gumdang village. Several tide embankments around the Gomso Bay including Byokgolje (Gimje), Nullje (Joengeup), and Hwangdeungje (Iksan) were believed to be build in around AD 300-500.
    Based on this, the salt field sites would have been similar in about AD 500. In around AD 1500,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reported the locations of the salt field were moved about 800 m toward the sea. However, the records from "Taekliji" (擇里志, 1751) and "County map" (地方地圖, 1872) suggest that the salt field were moved back on the recent positions. The salt field positions of the 1500s and the 1800s differ and imply that the sea level positions have been changed. Such sea level changes inferr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closely coincides with regional and global sea level vari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