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교사의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service experienc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4.01
18P 미리보기
초등교사의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9권 / 4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김행화, 이강순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로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였고, 지도하였는지 또 어떠한 평가를 얻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교육 현장과 예비교원양성기관에서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표현 영역 지도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고 미래 교육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본 연구자가 2년간 직접 무용교육봉사 운영에 참여하며 경험한 것을 시간순서에 따라 1인칭 관점에서 서술하였고, 회의 기록,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 운영보고서 및 사진 자료, 개발자, 운영진, 관리교사의 설문지 및 인터뷰 등을 통해 경험을 정리하고 반성하며 성찰하는 과정을 거쳤다. 비대면 무용교육봉사는 문화소외지역에 소재한 Y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재학중인 42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하였고,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운영 과정에서 현직 교사들 간의 발전된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학년군에맞는 한국무용, 세계무용, 실용무용 지도 자료를 함께 완성할 수 있었다. 둘째,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경험이 사전 교육, 지도안 피드백, 수업영상 피드백에서 현직 교사의 도움이 예비 교사에게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구안할 수 있도록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대면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의 평가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성장과변화, 교육 현장에 가져온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가 함께 미래 교육을 위해 협업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이나 교육부를 통해 개발된 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비대면무용교육봉사 프로그램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원활한 실시간 소통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service experience, and provides evidence that can fully utilize the expressive teaching capabilities of current and prospective teachers in school education sites an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educ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searcher's experience while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dance education service for two years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in chronological order, including meeting records, dance education service program operation reports and photo materials, developers, management, and management. We went through a process of organizing, reflecting, and reflecting on our experiences through teac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service was targeted at 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1st to 6th grade attending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culturally underprivileged area, and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6 months from July to December 2022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able to share developed ideas among current teachers in the development method and operation process of a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volunteer program and complete Korean dance, world dance, and practical dance instruction materials appropriate for each grade group.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volunteer exper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ospective teachers in helping them design more effective classes through the help of current teachers in prior training, instruction plan feedback, and class video feedback. Thir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volunteer program, it was able to examine the growth and chang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brought to the educational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opportunities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o that current and prospective teachers can collaborate for future education. Second, a platform must be established to share dance education volunteer programs developed through the Office of Education 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urther develop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volunteer programs, an environment for smooth real-tim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must be establ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