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대면 시대 원격의료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The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the Settlement of Telehealth in the Non-Face-to-Face Era)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03
50P 미리보기
비대면 시대 원격의료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5권 / 1호 / 449 ~ 498페이지
    · 저자명 : 윤효영

    초록

    국내의 경우 2002. 3. 30.자 의료법 개정으로 의사-의사 간 원격의료를 규정한 제34조(개정 전 제30조의2)가 신설된 이후 지금까지 원격의료의 확대 도입에 대해서는 첨예하게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정책 목표와 이념, 이해관계에서비롯된 갈등만이 아니라 원격의료에 대한 개념 정의, 의료법상 허용되는 원격의료의 유형에 대한 해석 역시 차이가 있다. 후자의 문제는 의료법 제17조 소정의 ‘직접 진찰’이라는 문구의 해석과 연결되는데, 이에 대한 헌법재판소와대법원의 견해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복잡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여러 차례 의료법 제34조에 대한 개정안을 제출하여 원격의료를 확대하고자 시도하였으나, 대한의사협회와 일부 시민단체의 강경한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다.
    그런데 2019년 말에 등장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로 인한 팬데믹 현상의장기화는 비대면 사회라는 새로운 생활 양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의료 분야에서는 특히 원격의료의 중요성이 부상하였다. 이미 이전부터 원격의료를 발전시켜 왔던 주요 국가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비록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이전에는 금지되었던 의사-환자 간의 전화 등을 이용한 진단과 처방이 가능해졌다.
    코로나 19로 촉발된 사회적 변화가 이후에도 어느 정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를 때, 향후 국내에서 원격의료를 정착시키기 위한 법 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집적된 원격의료 관련 주요 쟁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코로나 19 상황이 안정화된 이후 원격의료 관련 법 제도는 일반 국민의 건강권 보호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하에, 의료법 제34조에 대한 개정 의견 및 의료 현장에 적용될 지침에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사항을 제시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원격의료의 위상 제고를 고려할 때 의사-환자 간원격의료를 허용하는 기존 정부 개정안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한다. 또한 그간정부와 대한의사협회 사이의 공방 과정에서 초진 대면의 원칙, 1차 의료기관중심 운영, 만성질환자나 정신질환자 및 의료접근성이 어려운 환자 대상 실시라는 기본 원칙에는 어느 정도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정안의 내용 중에는 해석이 불명확하거나 의료 현장의 즉각적 수용이 어려워서본격적인 개정 작업 시 조정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성의의미 재정립, 원격의료 유형에 대한 명확한 정의,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에서진단ㆍ처방행위(원격진료)와 기타 유형의 차별적 규율 및 단계적 시행, 의료현장에 적용될 구체적 지침 제정 등을 주요 정비 방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Korea, since Article 34 on telehealth between doctors and medical personnelwas newly establish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Medical Act in 2002, sharpopinions between the government,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some civicgroups have been made on the expansion of telehealth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re was a difference not only in policy goals, ideologies, and conflicts arisingfrom interests, but also i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elehealth and the types oftelehealth allowed under Article 34 of the Medical Law. The latter problem is linked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direct examination” prescribed in Article 17 ofthe Medical Act, and the view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are inconsistent. In such a complicated situation, the government tried to expandtelehealth by submitting an amendment to Article 34 of the Medical Law, but wasfrustrated by strong opposition from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some civicgroups.
    Howeve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elehealth in the medical field hasemerged as the corona virus that appeared at the end of 2019 and the prolongedpandemic phenomenon caused a change in a new lifestyle in which non-face-to-faceis common. In addition to the US, Japan, and China, telemedicine means remotediagnosis and prescription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which was previouslyprohibited, although temporary, have become possible in Korea. Given the prospectthat the social change triggered by Corona 19 will continue to some extent in thefutu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egal system to establish telemedicine in Korea in the future. In this necessity,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 discussions related totelemedicine accumulated so fa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Next, underthe basic premise that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elemedicine after Corona 19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protection of the general public’sright to health, this paper reviews the main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amendment to Article 34 of the Medical Law and the guidelines to be applied to themedical field.
    Considering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of telehealth in the post-corona era, thebasic contents of the government’s medical law amendment are generally agreed. Inaddition, in the course of debat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Korean MedicalAssociation, the basic principles such as face-to-face treatment for the first visit,non-face-to-face treatment centered on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and patients withchronic or mental illness and patients with difficult access to medical treatment, wereagreed to some extent.
    Howeve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amendment need to be adjusted becauseinterpretation is unclear or immediate acceptance by the medical community isdifficult. In this thesis, re-establishment of the meaning of remoteness, betweentelemedicine and other types of telehealth and step-by-step implementation of theboth, and establishment of specific guidelines to b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aresuggested as major improvement 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