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동시 도산면의 세 가지 山志 (The three mountain anthology in Dosan-myeon, And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03
46P 미리보기
안동시 도산면의 세 가지 山志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76호 / 275 ~ 320페이지
    · 저자명 : 허흥식

    초록

    경상북도 안동시의 동쪽에 위치한 陶山이 알려진 시기는 退溪 李滉(1501-1570) 이후이다. 도산은 오늘날 도산면의 기원과 관련이 크다. 陶山記는 이황이 지었고 이황의 후손이 주도하여 완성한 세 가지 산지, 즉 陶山志, 淸凉志, 龍山志의 기초가 되었고 확대시킨 요소도 적지 않다. 도산기는 7대삼곡을 벗어나지 않으나 후에는 도산의 서쪽 雲巖에서 시작하여 낙동강을 거슬러 동쪽 청량산에 이르는 도산구곡의 보충은 이이순의 후계집에 실린 도산지를 도산구곡에 대해서 보충하려던 詩幷序에서 확인된다.
    도산면이 있는 안동시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하고 소백산맥을 넘어 남한강유역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다. 신라와 고려의 전성기에는 대체로 상주보다 지역의 위상이 낮았으나 공민왕이 안동으로 몽진한 이후 상주를 능가하는 계수관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를 비롯하여 현재도 대체로 이를 계승하였다. 도산지는 세 가지 산지의 모형이되었다. 진성이씨의 기반을 확장하려는 의지를 완성시킨 吾家山誌라고도 불린 淸凉誌로 종합되기까지 꾸준히 자료를 보충하거나 간추리고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였다.
    도산지는 이황의 6세손 이수연이 이황의 도산기를 순서대로 더욱 보충하였다고 짐작되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이황의 도산기나 이수연의 도산지는 도산 부근의 七臺三曲을 언급했을 뿐이지 이이순이 제시한 도산구곡의 설정에는 1)도산을 서시로 9곡의 이름을 칠언절구로 배치하고 2)앞선 지명에서 방향과 거리를 표시하였으며 3)마지막으로 이황의 시문에서 찾아서 관련된 부분을 축약하여 전거로 붙였다. 세 가지 가운데 이이순이 보충하려던 시문에서 도산구곡이 처음 명시되었다. 또한 도산지에는 산천에 해당하는 도산구곡이나 청량지와 용산지에 설정한 다른 항목이 있었을 가능성은 적으나 오가산지로도 불린 淸凉誌에서 이이순의 도산구곡의 확정을 수용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확정하였다.

    영어초록

    Dosan陶山, located in the east of Andong City, Gyeongbuko Province, was known after Yi Whanng李滉 (1501-1570). Dosan is largely related to the origin of Dosan-myeon today. Dosangi was written by Yi Hwang and was led by Yi Hwang's descendants to form the foundation of three mountain anthology: Dosanji陶山志, Cheongnyangji淸凉志, and Yongsanji龍山志, which were expanded. Although Dosan-gi is not out of the seven major valleys, the supplementation of Dosan-gugok, which starts from the west of Dosan to the east of Cheongnyang Mountain from the Nakdonggang River, was found in Dosan-gugok, which was published in Yi Yi-sun's works. Andong City, where Dosan-myeon is located, is located in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and is an important route to the Namhan River basin beyond the Sobaek Mountain Range. During the heyday of Silla and Goryeo, the status of the region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Sangju, but after King Gong Min's moving to Andong, he developed into a counter that surpassed that of Sangju, and was generally inherited from the Joseon Dynasty and later on. Dosanji continued to supplement or summarize data and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imes until the Cheongnyangji and Yongsan sites, including Samsanji, were merged into Revised Cheongnyangji淸凉誌, also known as Ogasnji吾家山誌, which completed the will to expand the foundation of Jinseong Yi Clan. Dosanji is presumed to have been further supplemented by Yi Hwang's sixth-generation descendant Yi Su-yeon, but it does not exist. Yi Hwang's Dosangi or Yi Su-yeon's Dosanji mentioned seven pavilion and three vasen 七臺三曲 near Dosan. According to Yi Yi-sun's suggestion, 1) Dosan was named as seven characters poem, and 2) direction and distance were marked from the name of the front line, and 3) Lastly, the relevant parts were abbreviated and added as jeonsae. Among these three, Dosan Gugok was specified in the part that Yi Yi-sun and Yi ya-sun tried to supplement. It is unlikely that there were other items set up in Dosan nine corners or Cheongnyangji and Yongsanji in Dosanji,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Lee Yi-sun's supplement Dosanji was referring to the confirmation of Dosan nine cor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