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기술로서 한강 내수면 낚시어법연구 -견지낚시의 어법과 분류를 중심으로- (The survey of Inland fishing methos in Hangang river as a tradional way -In terms of the method and classification of troll fish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04
30P 미리보기
전통기술로서 한강 내수면 낚시어법연구 -견지낚시의 어법과 분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7호 / 369 ~ 398페이지
    · 저자명 : 편성철

    초록

    낚시대와 실감개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견짓대는 한국, 특히 한강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견지를 이용한 낚시법은 고문헌이나 고서화에도 등장할 정도로 전통을 지닌 낚시법이다. 견짓대를 사용한 모든 어법을 견지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설망견지, 앉을낚, 쏘갈방낚, 띄움견지, 사슬낚시, 잉어방낚, 가늠손대낚, 뗏봉, 삼봉낚시 등의 다양한 조법(釣法)이 존재했다. 각 조법에 대한 구분이 없이 ‘견지’라고 총칭하다보니 일관성이 어긋날 때가 있다.
    조법의 명칭은 낚시바늘의 모양, 견지할 때 사용하는 보조 어구의 명칭, 대상 어종의 명칭 등 견지꾼들에 의해 직관적으로 붙었다. 그렇기 때문에 견지어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견지에 사용되는 다양한 어구들의 명칭과 쓰임새를 알아야만 한다. 여타의 낚시와 동일한 어구도 있으며, 견지에서만 쓰이는 어구들도 있다. 이 글에서는 견지의 조법과 해당 조법에 사용되는 다양한 어구들을 소개했다.
    각 조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견지어법을 분류하였다. 분류의 기준은 첫 번째 미끼사용유무, 두 번째 낚시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견지어법은 국제적인 어법 분류기준법만으로는 불가능하다. 한국의 조법은 한국의 환경에 맞게 발전해왔다. 우리만의 고유한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이러한 것들이 그동안 해수면 어업에 밀려 소외되었던 내수면 어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 fishing rod, long rod equipped with a fishing wire and a hook, is a tool used to catch fish. To provide further casting distance, some fishing rods are furnished with reels which are general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s of the rods. In comparison, a gyeonji rod is made in one piece with the part on which the excess wire is rolled, and such part is on the upper part of the rod. Gyeonji was a well used methods in Korea, especially in the Hanggang basin.
    Fishery methods using gyeonji have a strong traditional background, and can also be spotted in old literatures and paintings. Up until the late 20th century, various fishing methods such as seolmanggyeonji, anjeulnak, ssogalbangnak, ttuiumgyeonji, saseulnaksi, ingeobangnak, ganeumsondaenak, ttetbong and sambongnaksi were frequently employed. However, only seolmanggyeonji and ttuiumgyeonji are actively transmitted while other methods are falling into oblivion. These methods, since they were not created with academic classification in mind, cannot be clearly systematically categorized. The methods were each named after different criteria: oebongnak, saseulnak, and sambongnak describe the shapes of the fish hooks; seolmanggyeonji and ganeumsondaenak were named after the auxiliary equipments; and ssogalbangnak and ingeobannak took the names of the targeted fish species.
    Nevertheless, the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certain shared characteristics. The first is the employment of bait: while seolmanggyeonji, anjeulnak, ssogalbangnak and ttuiumgyeonji take advantage of baited hooks, saseulnak, ingeobangnak, ganeumsondaenak, ttetbong and sambongnak are types of snatch fishing. The second is the location where the fishing activity occurs: on a boat, in the water or through an opening in the ice.
    Gyeonji fishing methods cannot be categoriz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since Korean fishing methods have developed to suit Korean environment. Determining our own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amplify the interest in the inland fishery, which used to be eclipsed by the marine fish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