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비뽑기」와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에 나타난 목적 없는 폭력의 상징적 의도 (The Symbolism of the Pointless Violence in "The Lottery" and "The Ones Who Walk Away From Omela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4.05
23P 미리보기
「제비뽑기」와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에 나타난 목적 없는 폭력의 상징적 의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래영어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어영문학 / 19권 / 2호 / 19 ~ 41페이지
    · 저자명 : 조미정

    초록

    “The Lottery” and “The Ones Who Walk Away From Omelas” by Shirley Jackson and Ursula K. Le Guin are focused on human beings inborn cruelty hidden within the trap of civilization making ritual murder normal and necessary for keeping tradition and community alive. These two authors respectively, American gothic and fantasy female writers, have indicted the unjustice of convention and criticized patriarchal society in relation to social issues. Jackson narrates the society in a peaceful voice to induce a sense of calm in the reader which is abruptly shattered in the ending part. Also she uses a lot of symbolic techniques to dramatize the danger of mob psychology. In the name of tradition, a ritual of victimization is held every year. However, the allegory in this story doesn't suggest what the moral is but forces the reader to choose. Likewise, Le Guin endows both the narrator and reader with the authorship to grant them responsibility for the story. The narrator by creating the Omelas wants to embody an ideal utopia in the real world. By doing this, the narrator induces the readers into creating their own perfect city but they end up framing themselves in the story because they invest in a 'term' which reflects their a priori ideal for a perfect city. A victim , symbolized by a child makes it possible for all of the people in Omelas to enjoy happiness. This functions as dilemma for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pointless violence. That's why there are those who walk away from Omelas, which is rarely thought about by ordinary people living in Omelas. To sum up, these two short stories are pointing out that how cruel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can be and showing how utilitarianism-the greatest good for the greatest numbers of people, is poison for the helpless.

    영어초록

    “The Lottery” and “The Ones Who Walk Away From Omelas” by Shirley Jackson and Ursula K. Le Guin are focused on human beings inborn cruelty hidden within the trap of civilization making ritual murder normal and necessary for keeping tradition and community alive. These two authors respectively, American gothic and fantasy female writers, have indicted the unjustice of convention and criticized patriarchal society in relation to social issues. Jackson narrates the society in a peaceful voice to induce a sense of calm in the reader which is abruptly shattered in the ending part. Also she uses a lot of symbolic techniques to dramatize the danger of mob psychology. In the name of tradition, a ritual of victimization is held every year. However, the allegory in this story doesn't suggest what the moral is but forces the reader to choose. Likewise, Le Guin endows both the narrator and reader with the authorship to grant them responsibility for the story. The narrator by creating the Omelas wants to embody an ideal utopia in the real world. By doing this, the narrator induces the readers into creating their own perfect city but they end up framing themselves in the story because they invest in a 'term' which reflects their a priori ideal for a perfect city. A victim , symbolized by a child makes it possible for all of the people in Omelas to enjoy happiness. This functions as dilemma for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pointless violence. That's why there are those who walk away from Omelas, which is rarely thought about by ordinary people living in Omelas. To sum up, these two short stories are pointing out that how cruel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can be and showing how utilitarianism-the greatest good for the greatest numbers of people, is poison for the help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어영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