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명인 아바타를 활용한 메타버스 가상경험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인게이지먼트와 관계성 욕구를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 on the Effects of Using Celebrity Avatars in the Metaverse: Focusing on Engagement and Relatedness Need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2.10
38P 미리보기
유명인 아바타를 활용한 메타버스 가상경험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인게이지먼트와 관계성 욕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통신연구 / 120호 / 96 ~ 133페이지
    · 저자명 : 송유진, 최세정

    초록

    파괴적 혁신 기술이 주도하는 기업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연스럽게 뉴미디어를 소비하며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연결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를 통해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상호 교류하면서 밀접한 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메타버스는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유명인을 활용한 브랜드 가상경험 의 현상에 주목해 인게이지먼트 개념을 적용하여 뉴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규명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험 연구를 기반으로 메타버스에서의 가상경험에 대한 인게이지먼트 조건(고 vs. 저)의 효과가 소비자의 관계성 욕구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메타버스에서의 가상경험이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게이지먼트가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소비자는 가상경험에 대해 더욱 즐겁게 인식하고 아바타 인물에 대해 쉽게 기억하였으며 가상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추구하고 발전시키려는 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은 낮은 인게이지먼트 조건보다 높은 인게이지먼트 조건의 가상경험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관계성에 대한 욕구가 낮은 소비자일 경우 인게이지먼트 조건에 따른 효과 차이가 미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명인 아바타를 활용한 가상경험이 마케팅 측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른 조건과 관계성 욕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입증함으로써 자기결정성 이론에 관한 논의를 가상 세계에까지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실무적 차원에 서는 본 연구 결과가 메타버스 맥락에서 유명인 아바타를 활용한 콘텐츠를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long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nd companies led by disruptive innovative tech- nologies, modern people today consume new media and lead a life in which the real and the virtual worlds are interconnected. In such an environment, companies are actively interacting and building closer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through a virtual world, or the metaverse, and this is being highlighted as a new marketing too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munication strategies suitable for the new media environ- ment by applying the concept of engagement and by analyzing the phenomenon of vir- tual metaverse experience using celebrities. Specifically, through an online experimental study, the effects of engagement conditions (high versus low) on consumer’s desire for relatedness on consumer response were examined. Then, it was verified whether virtual metaverse experience influenced the actual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engagement was high, users perceived the virtual experience to be more enjoy- able, remembered the celebrity avatar characters more easily, and evaluated the sat- isfaction of the virtual experience higher. Moreover, consumers with a strong tendency to pursue and develop close relationship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virtual expe- rience under higher engagement conditions than the lower engagement conditions. Converse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desire for related- ness, the differences in effect according to engagement conditions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virtual experiences using ce- lebrity avatars could yield practical and tangible marketing effect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ing the discussion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o the virtual world by illustr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ngagement level and desire for relatedness. On a practical level, study results will shed light and provide insight and ra- tionale to strategically plan, design, and establish content using celebrity avatars in the metaverse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