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The Empowerment of Older People in Korea and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4.12
22P 미리보기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9권 / 4호 / 269 ~ 290페이지
    · 저자명 : 신미식

    초록

    한국에서 노인은 나약하고, 의존적이며,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존재, 혹은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거나 젊은 사람에게 부담이 되는 존재로 그려지면서 여전히 부정적 이미지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노인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노인들이 정정당당한 삶의 주체로 거듭나서, 노인과 관련한 사안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힘을 갖게 되는 것, 즉 임파워먼트되는 것이다. 노인의 임파워먼트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가장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교육을 통해서이다. 그러나 모든 교육이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고, 교육의 목적이 임파워먼트에 맞춰질 때만이 가능하다.
    한국에서 평생교육의 발전으로 인해 노인교육은 양적으로는 많이 확대되었지만, 아직 노인의 임파워먼트에 초점을 맞춘 노인교육은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 외국에서 노인들의 임파워먼트에 초점을 맞춰 발전해 온 비판적 노인교육을 살펴본 후, 비판적 노인교육이 한국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고, 나아가 그 가능성이 실현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영어초록

    Older people in Korea have suffered from negative images: they have been portrayed as frail, dependent, and helpless; they are considered as main contributors to weak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y are viewed as big burdens to younger people. Despite all these negative images, indeed, they still work hard for themselves and for the society, In this context, older people need to overcome the negative images imposed upon them, to become the subjects of their lives, to make voices for the issues related to them, and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what they need is that they should empower themselves.
    There are many ways to do so but the most effective and surest way is education with the focus on empowerment. In Korea,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but education for empowerment is not available yet. On the other hand, in western countries,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mpowering older people.
    In this study, first, the author tries to examine why older people in Korea need empowerment. Second, the author investigates whet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mpowering older adults is available. Third, the author explores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in depth to grasp i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Forth,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critical educational gerontology can be feasible an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vitalize it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older peopl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