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활천』에 나타난 앤드류 머레이의 신유론 (Andrew Murray’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in Living Water in 1920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06
49P 미리보기
1920년대『활천』에 나타난 앤드류 머레이의 신유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40권 / 265 ~ 313페이지
    · 저자명 : 윤은석

    초록

    신유는 성경 시대로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는 중요한 기독교의 주제이다. 서방과 한국에서는 각각 신유운동이 일어났고, 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1920년대 서방의 신유 이해가 한국으로 전해진 것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서방의 신유 이해가 한국으로 전해진 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서방의 신유 사역자들의 글이 한국교회의 신문이나 신앙 잡지에 실렸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1922년부터 발행된 한국성결교회의 『활천』에는 앤드류 머레이라는 목회자의 신유의 글들이 기재되어 있다. 머레이의 글을 분석하는 것은 당시 한국교회에 전해진 서방의 신유 이해가 무엇인지를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 연구이다.『활천』의 편집자인 이명직은 머레이의 글들을 무조건적으로 다 수용하지는 않았다. 자신의 교단의 신유론에 비추어 어느 정도 수정하여 잡지에 기재하였다. 실제로 한국교회에 전해진 머레이의 신유론을 알기 위해『활천』의 글들을 분석하는 것에 더하여 머레이의 원문과의 대조를 통해 당시 한국성결교회가 편집을 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편집에는 당시 한국의 신유운동의 흐름을 고려한 것도 있었고, 성결교회의 이해와도 관계가 있었다.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편집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당시의 한국에 전해진 신유론을 이해하는 데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치는 미지의 연구 영역이라는 데 있다. 한국교회의 신유에 대한 연구는 있을지라도, 1920년대 서방의 신유 이해가 전달된 것은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당시 한국교회의 신유 이해의 한 단면을 드러낼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divine healing is the Christianity’s important theme from the Biblical times to now. The divine healing was generated both in the Western and Korea, and the studies of it have been done by some scholars. However, it was not treated that the Western understanding of it had been delivered to Korea. Examining whether the Western healing ministers’ writings were recorded in Korean church’s newspapers or journals, We can find that Western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was delivered to Korea. In Living Water that was published by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EHC) in 1922, pastor Andrew Murray’s Writings was registered. To investigate Murray’s writings was the important key to understand what the Western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delivered to Korea was.
    This study’s methodology is literature research. Pastor Lee who was the editor in chief of Living Water did not accept all of Murray’s writings absolutely. He edited writings of Murray in light of his denomination’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In addition to investigating Living Water in order to understand Murray’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which was handed down to Korea,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KEHC edited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text of Murray. There was some editing in consideration for Korean divine healing movement and KEHC’s understanding. To grasp the intention of editor in chief in light of several factors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which was transmitted to Korea.
    This study’s value is the area that nobody treated. Although there were some research on Korean divine healing, the study on the conveyance of Western’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was not treated. This study will expose the aspect of Korea church’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192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