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맹․순의 심미의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sthetical Awareness of Mencius and Xun z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6.02
26P 미리보기
맹․순의 심미의식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4권 / 219 ~ 244페이지
    · 저자명 : 심현섭

    초록

    본 논문은 맹자와 순자의 심미의식의 특징과 차이점을 고찰한 논문이다. 맹자와 순자는 모두 선(善)을 아름다움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내세운다. 그러나 그 선의 실질적인 내용은 서로 다르다. 맹자는 선을 ‘하고자할만한 것(可欲之謂善)’으로 본데 반하여 순자 는 선을 ‘인위를 가하는 것(其善者僞也)’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맹․순의 선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인간의 본성(性)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그 인식은 결국 마음(心)의 문 제로 귀결된다. 따라서 맹․순의 심미의식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심성론에 대한 깊은 이해가 수반된다. 선의 심미적 표현이 미(美)라는 입장은 맹․순 양자가 일치한다. 그러나 성(性)에 대한 관 점의 차이에 따라 선과 미의 내용이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맹자는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천도(天道)로 대변되는 의리지성(義理之性)을 선으로 보았기 때문에 내적 충실을 미의 조건으로 내세워 충실지위미(充實之謂美)라는 심미표준을 도출해 냈으며, 순자는 자연 에서 얻은 성은 재질이 투박하여 악하기 때문에 인위(僞)를 가하여 외적 전수(全粹)함을 갖추어야만 미의 조건이 될 수 있다고 보아 전수위미(全粹謂美)라는 심미표준을 도출해 냈다. 또한 맹자는 덕성주체로서 내재해 있는 도덕본심(道德本心)인 양심이 인의에 뿌리를 두고, 좀 더 차원 높은 심미경계로 발현시켜 가장 아름다운 인간으로 만들어 내야한다는 심미의식의 향외적(向外的) 확충성을 보여주었으며, 순자의 심미의식은 인간의 욕망을 예(禮)의 외적 제약과 통제 기능을 통해서 오히려 인간의 내적 욕망을 길러주고 조절해 줄 수 있다는 향내적(向內的) 수렴성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양자 모두 인간의 능 력을 깊이 신뢰하여 가장 아름다운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었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맹‧순의 심미의식은 후세의 전신사조론(傳神寫照論)과 기운생동론(氣韻生動論), 사회 공리적 예술관 및 비덕론(比德論) 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features and differences of esthetical awareness of Meng-zi and Xun-zi. They imposed that goodness(善) is a precondition for getting beauty(美). However, their substantive contents are different. Mengzi considered goodness as a 'desirable thing to do(可欲之謂善)', while Xun-zi looks goodness as a 'artificial thing(其善者僞也)’. This difference of esthetical awareness between Meng-zi and Xun-zi proceeds from difference in a nation about the human nature(性) and these awareness eventually add up to issues about spirits. Therefore, you ne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ir theories about human natures if you want to understand esthetical awareness of Meng-zi and Xun-zi. Meng-zi and Xun-zi both agree with that beauty is an aesthetic expression of goodness. According to perspectives of human natures, however, their details of theories about goodness and beauty differ from each other. Because Meng-zi thought metaphysical nature (義理之性) which is exemplified by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仁義禮 智) and providence(天道) is a goodness, he suggests esthetic standard which is called substantial beauty(充實之謂美) by the inner fullness as a condition of beauty. On the other hand, Xun-zi considered that a condition of beauty should artificially get a perfectly pure(全粹) outside because Xun-zi believed that human natures which are obtained from wilds are so rough and evil. Because of that reason, Xun-zi suggests a esthetic standard which is called perfectly pure beauty(全粹謂美). In addition, Meng-zi suggests extroverted(向外的) expansibility of esthetical awareness that conscience(良心) which is based on humanity and justice and which inheres as a performer of morals and moral essence(道德本心) and this conscience should make person most beautiful through revelation of higher esthetic level. Xun-zi's esthetical awareness shows a feature of introverted(向內的) astringency that human's inner desire could be cultivated and controled through the propriety(禮)'s outer restriction and control function. Nevertheless, Meng-zi and Xun-zi both really trust in human's abilities so they believe that human can be most beautiful one. A esthetical awareness of Meng-zi and Xun-zi affected future theories of transmitting the spirit(傳神寫照論) and spirit resonance, life movement(氣韻生動論) and founding of an utilitarian views of art and a theory of comparing morals(比德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