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Training Roadmap for Researchers Conducting National R&D Projects in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3.08
25P 미리보기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력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HRD연구 / 15권 / 3호 / 247 ~ 271페이지
    · 저자명 : 유덕현, 유기원, 김민희, 신준석, 김부현, 윤세훈

    초록

    본 연구는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모델과 교육훈련로드맵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이공계 분야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의 연구인력으로, 연구대상은 석박사 연구인력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전문가와 국가연구개발사업 전문가 8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 수주비 상위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구인력 14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가 도출되는 시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전문가 4명에게 2회에 걸쳐 자문을 받았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진행된 연구결과는 크게 5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이공계분야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교육훈련과정을 도출하고 과정의 내용을 설계하였다. 다섯째, 교육훈련과정의 특징, 난이도,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육훈련로드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은 향후 이들의 역량진단과 평가, 교육요구분석 및 교육훈련을 위한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what core competencies are necessary for the researchers to conduct national R&D projects, and develop a competency model and training roadmap in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studying for a master or doctoral degree in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All of them have some experiences of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ir academic advisors.
    Interviews and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the selected subjects and professors who also had conducted national R&D projects. Then two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14 subjects studying at top five universities in terms of winning research funds from national R&D program. The Professors with experiences of national R&D projects reviewed our data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outcomes are as in the following - job analysis on national R&D project, competencies identification by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training courses and modules design and establishment of training roadmap. The results could not only provide a foundation for diagnosing and assessing researchers' competency, but also become basic standards for training needs analysis and training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