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손순매아> 설화의 산(山) 지명 형성 -대전 식장산·보문산 전설을 통하여- (The Formation of Mountain Place Name of Tales - Focusing on Daejeon Sikjangsan Mountain legend and Bomunsan Mountain legend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lt;손순매아&gt; 설화의 산(山) 지명 형성 -대전 식장산·보문산 전설을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3권 / 71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순재

    초록

    본고에서는 <손순매아> 설화와 식장산·보문산 전설의 비교·분석을 통해, <손순매아> 설화가 식장산과 보문산의 지명 형성에 영향을 끼쳤음을 입증하였다.
    식장산 전설은 <손순매아> 설화에서 사찰 연기담이 탈락하고, 화수분 화소가 결합하여 탄생한 변이형 설화이다. 백제와 신라는 식장산에서 많은 전투를 치렀고, 자연히 백제에서는 식장산에 성을 쌓고 군량을 비축해 두었다. 이러한 연유로 이 산은 식량이 많이 저장되어 있다는 의미로 지역민들 사이에서 식장산(食藏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손순매아> 설화가 전파·흡인되고, 이 산에 많은 식량이 있다는 이야기에서 식량이 끊임없이 나오는 그릇 같은 화수분 화소도 흡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이 오래 전승되면서 이 산에는 많은 식량이 숨겨 있고, 귀하고 신이한 물건이 묻혀 있다는 믿음이 지역민들 사이에 생성된다. 이렇게 이 산은 역사·지리·설화적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생성된 전설의 영향으로 인하여 현재의 식장산(食藏山)이라는 지명이 형성되었다.
    보문산 전설은 식장산 전설과 마찬가지로 <손순매아> 설화에서 사찰 연기담이 탈락하고, 화수분 화소가 결합하여 탄생한 변이형 설화이다. 그런데 보문산 전설에는 이뿐만 아니라 효행담 또한 탈락하고, 동물 구제 득보담이 새로 추가되었다. <손순매아> 설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식장산 전설은 효행담이 잘 나타나는 반면에, 식장산 전설로 인해 <손순매아> 설화의 간접적 영향을 받은 보문산 전설은 효행담이 탈락하는 대신 동물 구제 득보담이 결합하게 된다. 현재는 폐사되었지만 고려시대에 건립된 보문사(普文寺)라는 사찰이 보문산 서남쪽에 존재했었다. 이에 따라 보문사(普文寺)의 영향을 받아 근처 산의 이름이 보문산(普文山)으로도 불리고 표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보문사가 폐사된 뒤 지역민들에게 <손순매아> 설화와 식장산 전설의 영향으로 탄생한 보물산(寶物山) 전설의 전승력이 강해진다. 이에 보물 화수분 그릇이 묻힌 산이라는 뜻에서 보문산(普文山)의 ‘普’가 보물이라는 의미의 ‘寶’로 바뀌게 되었을 수 있다. 이렇게 이 산은 역사·지리·사찰·설화적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현재의 보문산(寶文山)이라는 지명이 형성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onsunmaea> tales and the legends of Sikjangsan Mountain and Bomunsan Mountain, <Sonsunmaea> tales proved to have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the names of Sikjangsan Mountain and Bomunsan Mountain.
    The Legend of Sikjangsan Mountain is variant tale that the origen stories of Buddhist temples were eliminated and inexhaustible supply Motifs was combined in <Sonsunmaea> tales. Baekje and Silla fought many battles at Sikjangsan Mountain. Naturally, Baekje built fortresses and provisions on Sikjangsan Mountain. For this reason, the mountain may have been called the Sikjangsan Mountain(食藏山) among the local people. In addition, <Sonsunmaea> tales are propagated, and in the story that there is a lot of food on this mountain, inexhaustible supply Motifs were absorbed. And as these stories have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the mountain created a belief among the local people that a lot of food was hidden and valuable mysterious objects were buried. In this way, the mountain is now named Sikjangsan Mountain(食藏山)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egend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history, geography, and narrative elements.
    Like the legend of Sikjangsan Mountain, the legend of Bomunsan Mountain is variant tale that the origen stories of Buddhist temples were eliminated and inexhaustible supply Motifs was combined in <Sonsunmaea> tales. However, the legend of Bomunsan Mountain eliminated the story of filial piety and added the story of obtaining treasure in return for saving an animal. The legend of Sikjangsan Mountain, which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Sonsunmaea> tales, showed the story of filial piety well, while the legend of Bomunsan Mountain, which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Sonsunmaea> tales, by the legend of Sikjangsan Mountain, Instead of dropping out of the story filial piety, the story of obtaining treasure in return for saving an animal is combined. Although now ruined, a temple called Bomunsa Temple(普文寺), built in Koryo Dynasty, existed on the southwest side of Bomunsan Mountain. Under the influence of Bomunsa Temple(普文寺), it is possible that the name of the nearby mountain is also called Bomunsan Mountain(普文山). However after Bomunsa Temple ruined, the local people are strengthened by the power of oral tradition of the legend of Treasure Mountain(寶物山), born of the influence of <Sonsunmaea> tales and the legend of Sikjangsan Mountain. Thus, the meaning of the mountain where the bowl of treasure inexhaustible supply was buried, could be changed from 'wide(普)' of Bomunsan Mountain(普文山) to 'treasure(寶)' meaning of treasure. In this way, this mountain is a combination of history, geography, temple, and narrative elements, forming the current name of Bomunsan Mountain(寶文山).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