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상이몽: 한국전쟁 시기 중국과 북한의 동맹관계 -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Bedfellows at Odds: The Sino-Korea Alliance during the Korea War - Marking the Seventieth Anniversary of the Korea War Armisti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동상이몽: 한국전쟁 시기 중국과 북한의 동맹관계 -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과 국제정치 / 39권 / 1호 / 205 ~ 230페이지
    · 저자명 : 선즈화(沈志華)

    초록

    한국전쟁 기간 중 중국은 북한과 실질적인 동맹 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흔히 말하는 ‘혈맹' 관계와는 달리 군 지휘권, 남진 전략, 휴전 협상 등 굵직한 사안을 놓고 북한과 중국의 지도부는 첨예하게 대립했다. 중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자 스탈린은 대승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절대적인 통제를 포기하고 전장의 주도권을 중국에 넘겨야 했고, 김일성은 결국 마오쩌둥의 주장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김일성의 북한 내 개인통치 지위에 대해 노동당 내 ‘연안파(延安派)'의 존재가 ‘내우(内忧)'이고, 중국 인민지원군이라는 강력한 세력은 ‘외환(外患)'이었다. 이로 인해 형성된 북·중 동맹은 사실상 ‘동상이몽(同梦異夢)'이다. 중국은 한국전쟁에 참전해 김일성 정권을 구해냈지만 북한 지도자들은 중국에 대한 엄청난 불만과 의혹을 가지게 되었고 전쟁이 끝나자마자 북-중 관계는 경색기에 들어갔다. 이런 현상은 사회주의 진영 내 국가관계의 구조적인 결함을 반영하는 동시에 북·중 관계의 역사적 특성을 반영한다.
    마오쩌둥이 어떠한 고려에서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로 하였든 간에 1950년 10월 19일 중국의 조선 출병은 김일성과 그 정권을 위급한 상황에서 구한 것은 틀림없다. 비록 전쟁 전에 마오쩌둥은 북조선과 중국과 소련이 체결한 우호 동맹 조약과 같은 조약은 잠시 맺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그러나 중국은 조약으로 맺은 동맹 이상의 실질적인 역할을 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지 70주년이 되었다. 북·중 양국이 전쟁 기간 맺은 이런 ‘동맹' 관계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오랫동안 중국 정부 측과 선전부문은 ‘피로 맺어진 우정'과 ‘굳건한 동맹'이라 표현해 왔고, 한국 정부 측과 학계에서도 ‘혈맹'관계라고 용어를 가장 흔히 볼 수 있었다. 정말 그런 것일까? 냉전 이후 러시아와 중국의 역사기록이 계속 공개되면서 연구자들은 점점 더 복잡한 역사적 진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한국전쟁 기간 북-중 양국은 표면적으로는 확실히 ‘굳고 깨지지 않는 우정'을 보였지만, 동맹국으로서 양국 고위층 사이에 일련의 첨예한 갈등과 심각한 이견이 존재했으며 특히 몇 가지 전략적 결정과 각자의 중대한 이익에 관한 문제에서 양측은 근본적으로 다른 고려를 하고 있었고 심지어는 완전히 대립적인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한국전쟁 중 북-중 동맹관계의 ‘동상이몽'적 성격이 어떻게 조성되었는지를 자료와 사실에 근거해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e Korean War, China and North Korea were bona fide allies. This relationship was however not one of “blood alliance” as it has often been characterized. Often taking different stances, the Chinese and North Korean leaderships clashed over critical issues such as commanding power, southward strategies, and armistice negotiations. After China entered the Korean War, to work with the new circumstance, Stalin relinquished his dominance over North Korea and let the Chinese take the lead in the war. Consequently, in all the Chinese-North Korean disputes, Kim Il-sung had no choice but to follow Mao Zedong’s ideas. For Kim Il-sung’s political power, a “Yanan faction” inside the Korean Workers’Party constituted an “internal trouble” while the forceful Chinese People’s Volunteers posed an “external threat.” As such, the Chinese-Korean alliance fared as “bedfellows at oddst” The Chinese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rescued the Kim Il-sung regime, but the wartime partnership also caused tremendous grievances and suspicions on the Korean part. As soon as the Korean Armistice was established in 1953, the Sino-Korean relationship turned cold. This historical episode reveals some structural defects of the inter-state relations within the Socialist Camp in general, and some legacies from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n particu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