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터 주도 혁신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정보통신망법과 EU GDPR의 동의 제도 비교를 통한 규제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The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n the Era of Data-driven Innovation —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Regulations through Comparison of the IT Network Act and the EU GDPR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11
28P 미리보기
데이터 주도 혁신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정보통신망법과 EU GDPR의 동의 제도 비교를 통한 규제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55호 / 29 ~ 56페이지
    · 저자명 : 김태오

    초록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인 원료이다. 데이터 이용은 산업발전과 새로운 가치창출의 촉매이다. 동시에 개인과 관련성이 있는 데이터는 개인정보로서 보호의 대상이기도 하다. 데이터의 이용을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사전동의(opt-in)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동의제도는 헌법상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절대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구체화한 개인정보보호규제의 핵심인 사전동의를 받지 않으면 데이터의 이용가능성이 사실상 봉쇄된다. 그러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기술 등은 사전동의 제도로 인해 큰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데이터의 이용과 개인정보보호의 조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화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본질과 한계를 살펴보고, EU GDPR의 동의제도를 통해 개인정보보호규제의 개선을 위한 단초를 찾고자 하였다. 첫째, 규범조화적인 개인정보보호 규제가 필요하다. 개인정보보호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프라이버시 보호 모두가 중첩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법리와 프라이버시 보호 법리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법리에 따라 정보주체가 스스로 보호범위를 설정한 것을 존중하면서도, 프라이버시와 인격권 침해의 법리에 따라 국가나 사법부에 의한 이익형량과 평가도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다. 둘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기반한 개인정보보호 규제의 초점은 그간 개인정보의 수집단계에 있었다. 수집단계에서는 수집 대상인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이 특정된다. 그러나 동의에 기초한 개인정보 이용인지 여부보다, 개인정보가 어떻게 이용되고 그 이용으로부터 정보주체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가 더 중요하다. 개인정보보호 규제의 초점을 이용 중심, 리스크관리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기본설정에 따르면 정보주체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결정을 내릴 능력을 전제한다. 그렇다면, 사전동의 제도만이 올바른 명제는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능력을 전제하면, 정보주체는 사후거부(opt-out)로도 충분히 자신의 개인정보를 통제할 수 있다. 데이터 이용 상황과 중요성에 따라 사전동의와 사후거부에 따른 데이터 수집ㆍ이용을 안분하면 될 것이다. 넷째, 정보주체의 행태를 고려한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근본적으로 정보주체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목적으로 수집되고 이용되는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무관심하며, 이러한 무관심 상황에서 동의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런데 동의권은 사업자에게 개인정보 이용의 가장 강력한 권원이자 면책의 근거이다. 따라서 충분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정보주체의 동의권 행사 행태를 고려하여, 사전동의제와 사후거부제를 혼합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다.

    영어초록

    Data is a key facto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new value creation possibilities and global competitiveness depend on the data use environment and capabilities. The personal-related data are also subject to protection as personal information. It is essential that, in principle, the prior consent is essential to the use of data. This consent i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By the way,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tends to be absolute. Therefore, if you do not obtain prior consent, as the cor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gulations that specify the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the availability of data is effectively block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will be limited by this prior consent regime. It is time to harmonize the use of data with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rights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 for harmony and to find out a basis to improving privacy regulations through the EU GDPR consent system. First, since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privacy protection are both problematic,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judicial logic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nterests of the state or the judiciary according to the jurisprudence of privacy, while respecting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Second, the focus of privacy regulation has been on the collection stage of personal information. At the collection stage, the purpo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is specified.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how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and how it affects the subject of information than whether it is based on consen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focus of privacy regulations on data uses and impact, and risk management approach areas. Third, the system of prior consent is not the only correct proposition, as the basic setting of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assumes the ability of the data subjects to make rational decisions. Rather, given these abilities, an information subject can control his or her personal information sufficiently with an opt-out basi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importance,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based on prior consent and opt-out basis should be mixed. Fourth, we need to think about privacy regulations considering the behavior of the information subjects. Data subjects are fundamentally indifferent about the purpose for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used, and exercise consent in such indifference situations. However, the right of consent is the most powerful source to the business and the basis of immuni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mix the prior consent and opt-out basis, considering the consent exercise behaviour of the information subjects when sufficient information is giv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