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남 문인 생애사 구술의 교집합과 차집합-한국 예술기록원 한국근현대 예술인 ‘관계망’ 구축 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Wolnam Munin’s Oral Life Histo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4
36P 미리보기
월남 문인 생애사 구술의 교집합과 차집합-한국 예술기록원 한국근현대 예술인 ‘관계망’ 구축 사업의 가능성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0호 / 55 ~ 90페이지
    · 저자명 : 강지윤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 사업 결과물을 바탕으로 한 한국 근현대 예술인 ‘관계망’ 구축 사업의 의미를 확인하면서 예술사 관련 구술채록 자료의 재구성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를 하나의 예시를 통해 사후적으로 검토해보는 것이다. 한국 근현대 예술인 관계망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1차) 및 데이터 전(前)처리 수행연구조사(2차)는 2003년~2019년 연구된 원로 예술가들의 구술채록문을 바탕으로 예술인 사이의 관계망을 그리기 위해 구술채록 자료에서 추출한 예술인들을 혈연, 지연, 학연, 직연, 영향 등의 지표에 따라 집합, 분류, 통합하는 작업이었다. 해당 연구 조사 사업은 정보의 집합 및 분류 체계를 미리 온전히 합의하지 못한 채 작업을 진행하면서 보다 적절한 방법을 동시적으로 만들어나가는 형식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예술인 사이의 ‘인물 관계망’은 주어진 지표에 의해 결정된 것이 아니라 ‘사후적으로’ 그 의미가 재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문학분야 중 생애사의 중요한 공통점을 공유한 사례인 월남 문인들의 자료를 추출해 ‘관계망’의 사후적 의미 해석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해보고자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근현대 예술인 관계망 구축을 위한 전 조사 프로젝트의 기획의 가능성과 한계에 연동되어 있다. 이는 일차적으로 기존 문학사 연구에 일정 정도 상식화된 정보들이 ‘관계망’ 연결을 위한 추출 항목들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고 나아가 이와 관련한 구술채록문의 에피소드 내용이 무엇인지를 다루는 과정이었다. 이를 위해 문학분야 구술채록자 중 해당 프로젝트 연구수행자의 연구대상이었던 김규동, 김광림, 김시철, 김우종, 박완서의 경우를 사례로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예술인 ‘관계망’ 구성 과정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의미화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덧붙여보았다. 이를 위해 김규동, 김광림, 김시철과 김우종, 박완서를 사례를 대별해 문학사와 문단사의 격차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언급해볼 수 있었다. 이는 ‘영향’ 지표에 나타난 문학사의 영향력 있는 작가들과 문단 정치의 핵심 이데올로그와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나타났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ways of reconstructing oral data for Korean modern art history by reviewing the project for digital drawing of the modern Korean artists network as an example. This project is aggregating and classifying oral data of life history texts of senior artists which have been collected since 2003 in order to reveal the modern Korean artists network. Researchers extracted all the names of artists from the data and classified them by kinship, ties of schools, regions, occupations, and relations of influence. However, it is hard to anticipate what appears by this work yet. As finding better indicators and working on aggregating and classifying oral data among this project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artists network can not come to a conclusion by what prearranged indicators would forecast. Conclusively, the meaning of “artists networks” can be found ex-post after the whole reconstructing process is finished.
    Among oral data of “literature” area, the writers from North Korea now living or having lived at that time in south Korea, Wolnam Munin(Jakga), who have common ground for their life histories can be selected as examples which may be the links to show what the artists network means by this data reconstructing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s inevitably connected to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project itself. First of all, it examines how the indicators, reconstructing artists network by, appear in the oral history texts and what the relevant episodes say about them, which are mostly well-known information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Among the collected oral history texts of “literature” area which the present researcher, as well as the project researcher, has covered, Kim Gyu-dong, Kim Kwang-rim, Kim Shi-chol, Kim U-jong, Park Wan-so who are Wolnam Munin(Jakga) and born and lived at about the same time are sellected. Besides, it tries to analyze further about what appears in artists network reconstructing. For this, it argues that the problem of the significant gap between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and changes of dominating powers in Korean literary field can be analyzed as noticeable feature in artists network reconstructing process by comparing the cases of Kim Gyu-dong, Kim Kwang-rim, Kim Shi-chol with those of Kim U-jong, Park Wan-so. It is also observed in the contents by the indicator, “influence” which shows the gap between influential writers and main ideologues of literary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