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비주택 거주 청년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o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Young Single Persons Living in Non-Housing Accommodations to Move to a Shared Hou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05
22P 미리보기
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비주택 거주 청년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택학회
    · 수록지 정보 : 주택연구 / 29권 / 2호 / 37 ~ 58페이지
    · 저자명 : 정기성

    초록

    우리나라는 심각한 인구ㆍ사회 및 경제적 변화 속에 급격한 1인 가구 증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청년 1인 가구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이들을 위한 주거시장 및 주택정책의 미스매치로 인해 고시원ㆍ고시텔과 같은 열악한 주택이외 거처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높은 청년 실업률 및 고용난으로 주거비 부담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비주택의 좁은 주거공간과 치안ㆍ안전 문제는 이들의 인간관계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유주택은 청년계층의 주거수요가 높은 도시 중심지에서 저렴한 가격에 커뮤니티를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적인 주거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이외 거처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공유주택 거주의향과 이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인공신경망 기법과 이항 로짓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 신경망 분석 결과 비주택거주 청년 1인 가구의 공유주택 거주의향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가구소득, 수도권 거주 여부,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 수급가구여부, 점유형태, 낮선 사람 침입 만족 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 수도권 거주, 이웃관계가 있는 가구, 월세 점유형태, 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수급가구, 공공임대주택 의사 있는 가구, 실면적 14~36㎡ 거주 가구 일수록 공유주택 거주의향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 가구 수요가 높은 수도권 및 도심 지역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비를 가진 공유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둘째, 공유주택 활성화 측면에서 공공은 저소득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유형 중 공유주택(쉐어하우스) 공급을 확대하고 민간의 공유주택 산업을 행ㆍ재정 및 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블루(Corona Blue)현상을 겪을 청년 1인 가구들에게 공유주택은 안정적인 주거환경과 안전한 인간관계를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young single persons to live in a shared house. For the analysi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the binomial logit model were used and synthesi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rediction accuracy results, the ANN model is more statistically powerful than the logit model. Second, the factors that mos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move to a shared house are the monthly incom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and the intention to move to public rental housing (PRH).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more females who were residing in SMA, interacting with neighbors, living with a monthly rental, earning less than 2 million won a month, and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who hoped to move to PRH intended to move to a shared house. Therefore,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cooperate to revitalize the supply of shared houses, which should eas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atisfy their city center life. Moreover, stable and healthy human relationships with housemates will have a good impact on them in the mentally challenging situation in the world today with COVID-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택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