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남 지역의 범죄발생과 안전망 실태 분석 - 계룡시, 청양군, 천안시, 태안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Actual Crime Occurrences and Safety Nets in Chungnam - With a Focus on Gyeryong-si, Cheongyang-gun, Cheonan-si, and Taean-gun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0.05
17P 미리보기
충남 지역의 범죄발생과 안전망 실태 분석 - 계룡시, 청양군, 천안시, 태안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 / 17권 / 2호 / 211 ~ 227페이지
    · 저자명 : 정승민

    초록

    이 연구는 2019년 전국 지역안전지수를 바탕으로 충남 내 범죄안전지수 등급별로 1등급 계룡시, 2등급 청양군, 4등급 천안시, 5등급 태안군 총 4개 지역을 대상으로 범죄발생과 안전망 실태를 조사하여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 내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지역 차원에서의 범죄안전 관련 사업 등 범죄예방활동의 실질적인 대책방안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조사대상 지역 내 지구대 및 파출소별 범죄발생 실태와 관할구역 내 사회적·물리적 안전망 실태에 관한 자료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범죄위험성에 따른 사회적 안전망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1등급 계룡시 내 경찰공무원1인 담당인구수는 예상과 달리 많았으나, 자율방범대원 1인 담당인구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안전망의 부족으로 인해 경찰 및 자율방범대원의 순찰활동을 통한 가시적 효과는매우 낮을 것이며, 이로 인해 느끼게 되는 지역주민들의 범죄두려움도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범죄위험성에 따른 물리적 안전망의 실태를 살펴보면, CCTV의 경우 범죄발생이 적은 지역에 더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범죄안전등급이 낮은 천안시와 태안군의 경우 CCTV가 1㎢당 1개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이에 대한 보완이 매우 시급하다. 가로등의 경우 범죄발생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는 사전적 범죄예방활동을 위한 조치라기보다는 행정구역의 면적으로 인한 차이로 보여 진다. 안심비상벨은 범죄발생이 많은 4등급 천안시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5등급 태안군에는 매우 적거나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도 있어 범죄에 매우 취약한 환경인 것으로 판단된다. 안심귀갓길 개소는 4등급 천안 내 서북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하나, 아동안전지킴이집 개소는 범죄발생이 많은 지역에 많이 선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죄발생 후 대책방안으로 선정 수를 늘린 것이므로 물리적 안전망으로 인해 범죄감소 및 범죄예방효과를 가져왔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지역 내 물리적 안전망 또한 범죄발생 실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일괄적으로 지역예산에 맞추어 구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지역 내 범죄위험성을 정확히 판단하여 이를 기준으로 어느 지역에 어떤 안전망이 얼마나 구축되어야 하는지, 어느 지역에 범죄예방환경디자인 등의 사업을 추진해나갈 것인지 등을 판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일괄적으로 물리적 안전망 설치에만 그치지 말고 지역별 치안환경이나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안전망을 구축한다면 범죄예방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crime occurrences and safety nets in Gyeryong-si of Grade 1, Cheongyang-gun of Grade 2, Cheonan-si of Grade 4 and Taean-gun of Grade 5 based on the crime safety index grades of Chungnam in "2019 Korea's Regional Safety Index" and analyze their connections. Analysis results would help to recognize a need for a local safety net and search for practical crime prevention measures at the local level. For methodology, the study collected, compared and analyzed data about crime occurrences and social and physical safety nets by the patrol division and police substation through information release requests to the government.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social safety nets according to crime risk and found that the number of citizens per police officer was bigger than expected in the area of Grade 1 and that the number of citizens per police volunteer was small in the area. There was, however, still shortage of social safety nets, which would lead to lower visible effects of patrol activities by police officers and volunteers and higher fear for crimes among local residen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physical safety nets according to crime risk and found that there were more CCTVs in areas of lower crime rates. There were many communities with no CCTVs per 1㎢ in Cheonan-si and Taean-gun whose crime safety grades were low, which calls for urgent supplementation measures. A good number of streetlights were installed in areas of high crime rates, but it was due to differences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districts rather than for crime prevention. The number of emergency bells for security was the highest in Cheonan-si that had the most crime occurrences, but it was too small in Taean-gun of Grade 5, which had a very vulnerable environment to crimes. There were no Safe Paths to Home, but there were many Shelters for Children's Safety in places of high crime occurrences. The number of these shelters increased, however, as a measure to deal with crimes that took place. As a resul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hysical safety nets were installed en bloc according to local budgets without consideration into the actual state of crime occurrences. The crime risk by the area should be taken as a criterion to establish safety nets and push forward crime safety projects. If safety net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environment of public order by the area and residents' requirements beyond the simple installation of physical safety nets, they will promote the maximization of crime prevention eff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치안행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