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Social Network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Way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Communit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3.03
36P 미리보기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 / 61권 / 85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한 뒤, 지역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거주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설문조사 및 개별 심층 면담을진행하여 사회적 지지의 양상 등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족스럽지 않은 혼인 생활로 인해 배우자 및 시댁과의 관계를 단절하면서 한부모 이주여성이 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환경으로부터 도피하여 새로운 삶의 공간에 놓이게 되면서, 관계망의 공백을 마주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주여성의 삶의 항상성을 깨뜨리고, 자녀 양육, 심리적 곤란, 경제 및 주거 등의 문제들을 홀로 해결해야 하는 다중적 취약성에 노출시켰다. 하지만 한부모 이주여성은 외적 자원과 내적 자원들을 결합하여 재구성한 관계망을 활용하여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해나가며 주체적 삶을 꾸려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양상 패러다임으로부터, 위축형, 확장형, 전환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세 가지 유형은 중첩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 정주하는 한부모 이주여성은 이주민 집단과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보다는, 한국인 집단과 교량적 유대를 형성하며 전략적으로 다차원적 사회적 관계망을 선택한다.
    한부모 이주여성과 지역사회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식적 관계망으로부터 양질의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도록 지원할 것, 둘째, 한부모 이주여성의 체류자격 안정성을 보장할 것, 셋째,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것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한부모 이주여성과 같이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이주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지역사회 관계망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의 사회복지사에 대한역량 강화 교육 활성화를 통해 전문적 지식 및 기술 증가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교육적 함의를가진다.

    영어초록

    After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communities. To this en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Based on the data obtained,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was attempted through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Participants in the study became single-parent migrant women by breaking off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and in-laws due to unsatisfactory marriage. They faced a gap in the network as they fled from their previous environment and were placed in a new space of life. These changes broke the homeostasis of migrant women’s lives and exposed them to multiple vulnerabilities on solving problems such as child rear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economic and housing alone. However, single-parent migrant women were living a subjective life,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by us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atrophy,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types from the paradigm of social network formation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three types appeared overlapp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proposed three suggestions: (1) to support high-quality social support from the official network, (2)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journ statu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3)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curriculum so that it will help social workers to recognize cli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network.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social work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empowerment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