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식디미방』음식명에 병기된 ‘맛질방문’의 정체 재검토 (Review of the Meaning of ‘matjilbangmun’ Written beside the Names of Dishes in Eumsikdimibang, the Old Korean Cookbook)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2
46P 미리보기
『음식디미방』음식명에 병기된 ‘맛질방문’의 정체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9권 / 409 ~ 454페이지
    · 저자명 : 배영동

    초록

    장계향이 저술한 17세기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의 음식명 뒤에 병기된 17항의‘맛질방문’이 무슨 뜻인지에 대해 검토하고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맛질’에 대해서는 지명이라는 전제에서 논의되었다. 그런데 『음식디미방』에 ‘주국방문’이라는 편명이 있으므로, 이 ‘방문’의 용례를 보면 ‘맛질’은 지명이 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맛질이 지명일 가능성이 없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장계향이 오래 살았던 영덕군과 영양군에는 맛질이라는 지명이 없다. 지금까지 거론되어왔던 예천군 맛질, 봉화군 맛질, 성주군 맛질, 이번에 추가로 검토한 안동시 미도(味道)라는 지명은 장계향의 생애와 밀접하게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맛질방문의 맛질은 지명이 아니다.
    『음식디미방』 편명에‘주국방문’이라 표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약방문’, ‘사후약방문’ 같은 표현에서, 그리고 조선후기 조리서 가운데 『주방문』, 『역주방문』, 『음식방문』 등의 서명 표현에서 방문이라는 뜻을 알 수 있다. 방문이라는 말은 ‘방법[方]에 대한 기록[文]’이라는 뜻이고, 방문 앞에 오는 단어는 방문의 대상이다. 그렇다면 ‘맛질’은 ‘맛있는 음식 만들기’ 혹은 ‘음식 맛있게 만들기’와 같은 행위개념으로 보인다.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17항의 ‘맛질방문’ 음식은 모두 원문 편명으로 어륙류에 배치되어 있고, 실제 조리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접빈음식이나 잔치음식의 성격에 더 부합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맛질방문 음식을 실제 내용으로 재분류하면 어륙류 8항, 면류 4항, 조과류 5항이다. 맛질방문 17항 가운데서 8항의 음식이 그 이전 조리서에 등장하지 않았고, 9항 음식의 경우 그 이전 조리서에 등장했더라도 종전과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맛질방문에 대해 ‘맛있는 음식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기록’ 혹은‘음식 맛있게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기록’이라는 의미로 판단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출하고자 한다.
    맛질방문 조리법 중에서 면류(별착면법, 차면법, 세면법)와 약과법, 중배끼는 다량의 밀가루로 만드는 음식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끈기가 없는 메밀이나 녹두가루로, 혹은 그런 재료에 소량의 밀가루를 섞어 면류를 만들었는데, 『음식디미방』 맛질방문에서 귀한 밀가루를 많이 써서 끈기 있고 부드러운 음식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밖에 맛질방문이라 병기된 어류, 육류, 조과류 조리법에서도 맛질방문에 대해 음식을 맛있게 만드는 방법이라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erm ‘matjilbangmun.’ This word was written alongside the names of dishes in the old Korean recipe book, Eumsikdimibang,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by Jang Gye-hyang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term ‘matjil,’ the first part of the compound word ‘matjilbangmun,’ these discussions were usually based on the premise that ‘matjil’ is a place name. However, ‘matjil’ does not seem to be a place name because Eumsikdimibang has a chapter titled ‘Jugukbangmun.’ This chapter is about how to mak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its fermentation starter, nuruk. In addition, Jang Gye-hyang lived for many years in three different regions, Andong-si, Yeongdeok-gun, and Yeongyang-gun in Gyeongsangbuk-do where no such place by the name of ‘matjil’ exists. While there are some places named Yecheon-gun Matjil, Bonghwa-gun Matjil, and Seongju-gun Matjil, these areas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Jang Gye-hyang. Therefore, the term ‘matjil’ cannot be regarded as a place name.
    In addition to the chapter titled Jugukbangmun in Eumsikdimibang, there are other Korean expressions which includes ‘bangmun,’ the second part of the term ‘matjilbangmun.’ For example, there are expressions like “sahu-yakbangmun (literally meaning ‘seeking medicine after death’)” and “yakbangmun (a prescription).” Furthermore, there are old recipe books autho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ke Jubangmun, Yeokjubangmun, and Eumsikbangmun. In these cookbooks, ‘bangmun’ means ‘a record (mun) of how to make something (bang),’ and the word which comes before ‘bangmun’ shows a type of dish to make. In this sense, ‘matjil’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a cooking action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making delicious food’ or ‘making food delicious.’ There were seventeen types of matjilbangmun foods introduced in the chapter regarding fish and meat dishes in Eumsikdimibang.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cipes of these seventeen matjilbangmun foods. In doing so,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ly, the dishes marked as ‘matjilbangmun’ were more likely to be prepared for meals for guests and for festive occasions. These dishe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food cont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eight types of fish and meat dishes, four kinds of noodles, and five sorts of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s, hangwa. These foods traditionally tended to be prepared and consumed on special occasions. In addition, eight types of these matjilbangmun dishes were not shown in other old recipe books that had been written before Eumsikdimibang. Even if the same or similar types of dishes existed in these other books, they were totally different from Eumsikdimibang’s matjilbangmun recipes. The results would suggest that the meaning of the term ‘matjilbangmun’ can be interpreted as ‘a record on how to make delicious food’ or ‘a record on how to make food delicious’.
    For the recipes of matjilbangmun dishes, in particular, noodles, yakgwa, and Jungbaekki seem to have been considered gourmet foods because they used a large amount of wheat flour. This can make such dishes stickier and softer. Before Eumsikdimibang was authored, noodles had been commonly made of non-sticky buckwheat or mung bean powders themselves or by mixing these powders with a small amount of wheat flo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