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물로 본 전주와 익산 후백제 유적의 성격 : 전주와 익산 지역 출토 통일신라시대 말~고려시대 초 와당과 명문와를 중심으로 (The Nature of the Later Baekje Relics in Jeonju and Iksan Based on Artifacts : Focusing on the Wadang(Roof-end Tile) and Myeongmunwa(Roof-end Tile with Inscription) from the Late Unified Silla to Ear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12
41P 미리보기
유물로 본 전주와 익산 후백제 유적의 성격 : 전주와 익산 지역 출토 통일신라시대 말~고려시대 초 와당과 명문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학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전북학연구 / 13권 / 221 ~ 261페이지
    · 저자명 : 전용호

    초록

    이번 연구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말-고려시대 초에 걸쳐 시대별 문화상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진 익산 지역이나 후백제의 왕도가 위치한 전주 지역에서 통일신라시대 말~고려시대 초에 출토된 유물에서 후백제의 문화상을 추출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후백제 왕도의 구조와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전주와 익산 지역에서 출토된 후백제의 와당의 종류나 수량은 조사 상황 등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렇지만 그 변화의 흐름이나 양상은 크게 다르지 않다. 9세기 전반부터 과거 백제 양식을 모방한 와당이 조금씩 나타나고, 9세기 후반~10세기 전반에 걸쳐 기존 흐름이 한층 강화되거나 백제 양식을 단순 모방 수준에서 벗어나 후백제 나름의 독특한 문화상이 등장한다. 이런 양상은 ‘후백제 전기 양식’과 ‘후백제 후기 양식’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와당과 달리 전주와 익산 지역에서 출토된 후백제 관련 명문와는 사찰명이나 지역명에서 모두 와당과 달리 양 지역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전주 지역에서는 과거백제 당시의 지명인 ‘完山(완산)’이란 지명 명칭 대신에 경덕왕(景德王) 16년(757 년) 이후부터 사용되어 왔던 ‘全州(전주)’란 지명의 명문와가 그대로 확인되었다.
    이와 달리 익산 지역에서는 사찰이나 산성을 불문하고 모두 과거 백제 당시의 지명인 ‘金馬渚(금마저)’란 명칭의 명문와가 ‘城(성)’이나 ‘官(관)’이란 단어와 함께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익산 대관사지의 3차 가람에서 사찰 명칭이 백제 당시의 ‘大官寺(대관사)’에 ‘官(관)’이란 단어가 추가되기도 하였다. 결국 전주는 ‘신라’ 체제를, 익산은 ‘백제’ 체제가 결합된 이중 구조가 내재되어 있다. 이런 구조는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익산 대관사지의 ‘왕궁탑’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결국 견훤이 지향한 후백제는 ‘신라’의 기초 위에 ‘백제’를 표방하는 국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후백제의 왕도는 정치적인 중심 도시인 전주, 종교신앙의 중심 도시인익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 시론적으로 설정해 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후백제 당시에 왕도가 위치한 ‘完山’이란 지명은 ‘全州’라는 단순히 행정구역을 넘어‘金馬渚(익산)’까지 포함하는 큰 함의를 내포하는 명칭으로 받아들어졌을 가능성도제기해 본다.

    영어초록

    period through artifacts excavated from Iksan, a region where discussions on cultural chang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Goryeo period have been relatively abundant, as well as from Jeonju, the capital of Later Baekje, from the late Unified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 Ultimatel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status of Iksan as an ancient city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and, further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ju, the capital of Later Baekje, and Iksan in terms of urba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The types and quantities of wadang (roof-end tiles) related to Later Baekje found in Jeonju and Iksan may var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the general trends and patterns of these change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wadang that imitates the style of the former Baekje began to appear gradually, and between the late 9th and early 10th centuries, this trend intensified, with the style no longer merely mimicking Baekje but evolving into a unique cultural representation of Later Baekje. These trends can be divided into the "Early Later Baekje Style" and the "Late Later Baekje Style." In contrast to wadang, myeongmunwa(roof-end tiles with inscription) related to Later Baekje found in the Jeonju and Iksan regions shows notable differences, particularly in the names of temples or regions. In Jeonju, an inscription on a myeongmunwa with the name 'Jeonju' (全州) was found intact,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16th year of King Gyeongdeok (757), replacing the former Baekje-era name 'Wansan'(完山). In contrast, in Iksan, myeongmunwa with inscriptions "Geummajeo"(金馬渚), the name used during the Baekje period, are continuously found, associated with words such as "seong" (城) or "gwan" (官), both for temples and fortresses. Additionally, at the 3rd Garam of Daegwansa Temple Site in Iksan, the word "gwan" (官) was added to the name "Daegwansa" (大官寺), the name used during Baekje. In the end, Jeonju reflects a "Silla" system, while Iksan retains a "Baekje" system, representing a dual structure. This structure is also evident in the "Wanggung Pagoda" at Daegwansaji Temple Site in Iksan, as mentioned earlier. Ultimately, the Later Baekje state established by Gyeonhwon can be seen as a nation that embodies "Baekje" on the foundation of "Silla.“ Therefore, the capital of Later Baekje can be regarded as being composed of two central cities: Jeonju, the political center, and Iksan, the religious center.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ce name '完山' (Wansan), which was the capital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might have been adopted as a name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including the area '金馬渚' (Iksan), beyond jus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全州' (Jeon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