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히어 판 데어 베이든의 <브라크 세폭화> 와 중세 말 북유럽의 개인경배 문화 (Private Devotional Practices of the Late Middle Ages in Northern Europe: Rogier van der Weyden’s Braque Triptych)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2.08
35P 미리보기
로히어 판 데어 베이든의 &lt;브라크 세폭화&gt; 와 중세 말 북유럽의 개인경배 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6권 / 97 ~ 131페이지
    · 저자명 : 이경희

    초록

    <브라크 세폭화 Braque Triptych> (1452년경)는 카트린 브라반트 (Catherine Brabant)가 결혼 직후에 남편 장 브라크 (Jean Braque)가 갑작스레 사망한 것을 계기로 베이든 (Rogier van der Weyden, 1399/1400-1464)에게 주문한 개인경배화이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을 통해 중세 말 북유럽의 개인경배 관습에 관해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브라크 세폭화>는 단순한 회화이기에 앞서 사적인 경배 생활을 돕는 종교적도구의 기능을 지닌 것이다. 이 작품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그러나 중앙 패널에 집중된 도상학적 해석의 수준에 머물러, 작품 본래의 주문 목적과 기능에 관하여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인 종교 생활의 맥락에서, 그리고 죽은 자의 추모라는 특정 기능의 관점에서 베이든의 작품을 접근하고자 한다.
    <브라크 세폭화>는 당시의 일반적인 개인경배화들에 비해 우선 크기가 상당히 크다. 그리고 내용 면에 있어서도 가장 흔하게 사용되던 도상 주제가 아니라,특정 개념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예수상과 여러 성자들이 함께 등장한다. 그 외에도 날개를 닫는 세 폭 형식의 그림틀이나 날개 바깥 면에 사용된 그리자유 기법은 공공 경당에 놓이는 대형 제단화의 특징에 속하는 것이므로, <브라크 세폭화>가 개인경배화임에도 대규모의 공공 제단화를 표방한다고 하겠다.
    세폭화의 중앙에는 데에시스 (Deësis)와 성체성사가 공존한다. 데에시스는 중재자인 성모와 성 요한이 심판자 예수에게 죄진 자의 구원을 간구하는 것을 주제로 하는 반면, 성체성사는 사제인 예수와 성찬식을 보조하는 두 성인에 의해 치러지는 신성한 예식을 암시한다. 한편 양쪽 날개의 세례자 요한과 막달라 마리아는각기 세례성사와 고해성사를 상징적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내부 전체를 통합적으로 보면 예수 삶의 처음과 끝이 내러티브하게 전달되는데, 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명문 외에도 세 장면을 하나로 통합하는 배경의 자연 풍경으로 더욱분명해진다. 따라서 경배화의 중앙 장면에서는 심판자에게로 향하는 구원의 염원과 사제를 통하지 않고도 일상적으로 행하는 성체성사를 통한 자기 정화가 나타난다. 이는 양 날개의 성인들이 상징하는 속죄와 용서의 의미를 통해 한층 더 단단하게 뒷받침된다. 그밖에 그림 가운데에 표현된 레퀴엠 (예수의 명문)과 바깥날개에 등장하는 벽돌 (brique/Braque) 모티프는 남편 장 브라크의 죽음과 이 경배화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날개를 닫은 모습에서 드러나는 바니타스(vanitas)와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개념은 카트린에게 삶의 유한함을 상기하고 현세에 대한 집착을 버리도록 권고함으로써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올바른 삶을 살도록 인도하는 듯 보인다.
    이러한 내용은 상당 부분 14세기부터 북유럽에서 성행한 신흥 신비주의 운동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이다. 평신도 개인의 비전 (vision) 체험과 신과의 직접적인합일 (unity)을 중시한 신비주의 성격의 이 신심 운동은 예수의 삶에 대한 묵상,성체성사, 특정 성인에 대한 감정이입, 현세의 덧없음의 자각 등을 강조하는 것을특징으로 했는데, 이들 요소는 <브라크 세폭화>에서도 관찰된다. 또한 등장인물과의 친밀성을 증진하는 반신상 형식과 배경의 세부 모티프, 그리고 중세 말의 자연관을 담은 익숙한 풍경 등은 당대의 일반적인 경배화에서도 보이는 공통적 특징이다. 특히 동시대 귀족 여성의 복장으로 등장하는 막달라 마리아는 경배자가 효과적으로 감정 이입을 함으로써 깊은 묵상을 하도록 돕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서 제작된 시도서들 (Book of Hours)의 시간경들이 <브라크 세폭화>에서의 내러티브와 내용적으로 매우 유사하므로 <브라크 세폭화>가 시도서나 묵상집과 같은 다른 경배 도구와 함께 일상의 규칙적인 기도행위를 도와주는 기능을 가졌으며 이로써 주문자의 신앙생활에 깊이 관여했음을것으로 추측된다.
    본 논문은 기존에 연구되지 못한 도상의 의미를 거시적으로는 당시에 흥했던종교 운동과, 미시적으로는 특정인의 죽음이라는 직접적 계기를 통해 읽어내고,경배 행위와 연관된 다른 개인경배 도구와의 연계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브라크 세폭화>를 통해 중세 말 북유럽의 개인경배 관습을 재구성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Braque Triptych (c.
    1452) by Rogier van der Weyden (c. 1399/1400-1464). The Braque Triptych was commissioned by a noble lady, Catherine Brabant, as a private devotional altarpiece after the sudden death of her husband, Jean Braq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raque Triptych within the context of personal devotional practice and religious culture of the late Middle Ages in Northern Europe.
    The Braque Triptych is remarkably discernible in style and content from other private devotional images made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in Northern Europe. Typical private devotional images were rather small in scale, and depicted subjects such as Madonna and child, Man of Sorrows, and Salvator Mundi alone. In contrast, the Braque Triptych is composed of a central panel and two wings, and its relatively large size rivaled those of public altarpieces in churches. Further, the exterior panels were painted in grisaille so that the triptych could be closed at Lent. Thus, unlike former studies focusing solely on the middle panel of the Braque Triptych, this paper attempts to scrutinize the entire triptych and its relationship with religious customs of the period.
    Catherine Brabant’s hope for her and her husband’s eternal salvation could have been expressed by means of the representation of three main Christian Sacraments in the Braque Triptych. In the middle of the interior panel, Christ is represented as a judge listening to the mediator’s entreaty and at the same time as a priest in charge of the Sacrament of Eucharist; the other two Sacraments, the Sacrament of Baptism and the Sacrament of Penance,seem to be depicted in the wings, i.e. by John the Baptist and Mary Magdalene. The scull motif and the inscriptions in the exterior panels, vanitas and memento mori, should be intended to instruct Christians to purge themselves of earthly delights for eternal redemption.
    The motifs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panels of the Braque Triptych imply several principles of the mystic religious movement which prevailed in Northern Europe around the fifteenth century. For example, meditation on the life of Jesus Christ, mystic experience through devoti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of Eucharist, the cult of Saints related to the life of Jesus Christ,and contemplation about worldly life. By having a distrust of the Catholic Church, the forerunners of the movement advocated personal experience of religious visions, unity of the laity and Christ, and most importantly,meditation on the divine life of Christ. On the other hand, the inscriptions above the head of the saints and Christ and the narratives represented by the saints suggest to the connection of the triptych with prayers in many Books of Hours of the same period. Thus, the Braque Triptych would have functioned for Catherine Brabant as a religious medium together with mediational books, prayers, and miniature illustrations in Books of Hours.
    It could be said that the messages represented in the Braque Triptych unveil the complex religious culture of the Late Middles Ages in Northern Europe, and the affiliation of the Braque Triptych with other devotional tools demonstrates private devotional customs in daily life of a noble lay beli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