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곡 낭독 교육의 연극 교과와의 연계 가능성 - 말(대사)의 연극적 표현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tentials of Connecting Drama Reading Aloud Education and Drama Subject ―Focused on the Theatrical Verbal Express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3.03
24P 미리보기
희곡 낭독 교육의 연극 교과와의 연계 가능성 - 말(대사)의 연극적 표현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7호 / 267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승이

    초록

    문학 갈래에 대한 교육은 문학 영역의 대표적인 반복․심화 학습 내용의 하나이다. 그러나 갈래에 대한 광범위한 성취기준은 갈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갈래에 맞는 적합한 학습활동을 구안하기 쉽지 않다. 특히 희곡교육은 갈래의 특성 중 문학성에 초점을 두고 연극성을 소홀히 다룸으로써 소설교육과 변별성을 지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희곡 갈래의 연극성 성취를 위해 독서 방법 낭독의 기초―심화―적용 단계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낭독, 즉 말하는 독자의 표현적 소리 내어 읽기를 중심으로 연극 교과와 연계하였다. 먼저, 기초 단계 발성‧발음 연습은 말(대사) 소리의 정확성에 초점을 두고 음성기관과 발화과정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감정을 배제한 상태에서 기본 의미를 전달한다. 다음, 심화 단계 끊어 읽기‧새겨 읽기는 말(대사) 표현의 유창성에 초점을 두고 연극적 상상력과 문해력을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인물과 상황에 맞게 의미와 감정을 미세한 정도까지 조절하여 표현한다. 마지막, 적용 단계 낭독 실연은 연극적 표현력에 초점을 두고 목소리로 모든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세밀화 훈련을 함으로써 표현적 소리 내어 읽기를 완성한다. 이로써 학습자는 실연의 극적 체험을 전제하는 실천적 읽기 낭독을 통해 ‘읽는다’의 낭독자와 ‘표현한다’의 실연자로서 교육적 가치를 경험하고, 연극적 표현력인 극 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 교과를 연계한 희곡 낭독 교육은 희곡의 문학성과 연극성 모두를 교수‧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시대 다양한 매체 환경 아래 매체와 매체 사이의 교류와 소통으로 타 영역 타 교과와의 유기적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문학의 갈래를 엄격하게 경계 짓지 않는 유연한 관점을 갖고 교수‧학습할 수 있도록 매체 등 재교육을 통해 교수자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Education of literary genr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petition and advanced learning content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devise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comprehensive literary genres without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drama education indeed focuses on the literary inclination by neglecting theatricality, which leads to a lack of literary education and distinctiveness.
    Therefore, this paper put an in―depth study on the theatricality of the drama genre by setting stages with basic, advanced, and application reading aloud methods and liked it to the theatre subject focusing on the learner’s reading ‘expressive reading aloud’. Reading aloud performance requires ‘theatrical ability’, which is a theatrical expression expressed by movement(body gesture), and speech(line). First, the introductory stage of vocalization and pronunciation practice focused on ‘making loud sounds’ and ‘producing accurate sounds’ in terms of accuracy and clarity of sou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nd understand the phonetic organs and speech process. It also focused on conveying the basic meaning while excluding emotions. Next, chunk and close reading in the advanced stage could solve the theatrical imagination and literacy by paying attention to fluency and clarity of the meaning of the text utilizing strategies like ‘pausing and connecting’ and ‘realizing the meaning and content deeply’. Various meanings and emotions are controlled precisely to express the characters and context of the situation. Lastly, reading aloud in the application stage could complete an expressive sound by utilizing media and theatrical expression as ‘the actual performance’. Precision training is conducted so that appropriate voice act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and the form of the work allowing a learner to experience artistic and educational values as a reader and performer.
    The concept of literature is expanding amid strengthening organic links with other subjects in other areas through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media in various media environments in the digital er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through re―education for media, making them teach and learn with flexibility in their perspectives without strict literature genre bound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