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항일투쟁에 나타난 명예자살에 관한 연구 - 이한응, 민영환, 이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norary Suicide Found in Struggles against Japan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Korean Peninsular)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12
44P 미리보기
한말 항일투쟁에 나타난 명예자살에 관한 연구 - 이한응, 민영환, 이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족사상 / 11권 / 3호 / 57 ~ 100페이지
    · 저자명 : 노명호

    초록

    본 논문은 한말 항일투쟁에 나타난 명예자결에 관한 연구이다. 나라를 위해 자기 목숨을 기꺼이 바치는 숭고한 죽음은 애국적 자결이다. 항일투쟁을 하다가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자결을 한 이한응, 민영환, 이준 등의 죽음은 애국적 자결로서 殉國烈士라고 불러야하는 것이다. 이 세 사람의 자결은 우리나라의 치욕적 굴욕사건인 을사늑약 전 후로 해서 일어나게 되었다. 을사늑약 이전 일제가 한국을 강제로 국권을 침탈하려는 계획을 알고 당시 영국 외교관으로 파견되어있던 이한응은 일제가 영국과 동맹을 맺고 한국의 국권을 침탈하려는 것을 알고 영일동맹 조문의 부당성을 영국 정부에 항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개의 외교관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깨닫고 일본의 천인공노할 만행에 항거하기 위해 자결을 택한 것이다. 일제는 고종을 협박하고, 매국리들을 매수하여 을사늑약(제2차한일협약)을 늑결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한국은 국권이 강탈당한 채 형식적인 국명만을 가진 나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에 민영환은 왕실의 친척이며, 정치에 관여한 사람으로 일본의 을사늑약을 무효화시키려고 고종황제에게 계속적으로 상소를 올리며 알현하고 간청을 하였다. 하지만 여러 차례 조약파기 상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성과가 없자 마침내 자결을 한 것이다. 이준은 헤이그특사로 파견되어 일본이 체결한 을사조약은 국제법을 위반한 것임을 세계에 알리려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강력한 방해로 한국의 억울한 사정과 일본의 침략을 알리지 못하였다. 이준은 격분하여 일제에 항쟁하여 자신의 몸을 나라를 위해 바치는 자결을 택한 것이다. 이한응의 자결 소식은 세계에 전파되어 각국 외교계에 커다란 충격과 국내에는 국민의 마음에 충격을 주었다. 민영환의 자결은 국민들에게 나라 국권의 부강의 필요성을 일깨워주었고, 항일투쟁에 대한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준의 자결은 신문을 통해 세계에 알려지므로 국외동포들에게 독립운동의 시작을 알리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그의 자결은 청년들에게 독립의식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그가 남긴 한국혼 부활론의 사상은 조국의 청년들에게 항일투쟁의 불을 붙이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honorary suicide that was found in struggles against Japan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Korean Peninsular. A solemn death to be willing to devote one's life to a country could be referred to as patriotic suicide.The death of Mr. Lee Han-eung, Min Yeong-hwan and Lee Jun is patriotic suicide, because they took their lives in struggle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us, they deserve to be called Patriotic Martyrs. Mr. Lee Han-eung recognized that the shameful and humiliating event for Korea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was Japan's plot to deprive Korean sovereignty forcefully. Then, he was dispatched to the UK as a diplomat, at those times, and protested the UK government against Japan's attempt to deprive Korean sovereignty after having allied with the UK. But, he understood that as merely as a diplomat, he could find no way of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Eventually, he decided to take his life in order to protest against Japan's horrific atrocities. The Japanese imperialists threatened and cajoled Emperor Gojong and traitors to conclude Korea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2nd Treaty between Korean and Japan). This event drove Korea to be deprived of national sovereignty and become a nation in the only name. At this, Mr. Min Yeong-hwan pleaded with Emperor Gojong to nullify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ddressing constantly the emperor a memoir that says the treaty must be withdrawn, but he found it was of no use. Eventually, he took his life. Mr. Lee Jun was dispatched as the Hague Special Envoy by Emperor Gojong in order to inform the world of the fact that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by Japan violated the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 Japanese imperialism interrupted and stopped desperately him from informing of the unfair situation Korea suffered from and Japanese invasion over the Korean Peninsular. Then, Mr. Lee Jun was so furious that he decided to devote his life to his homeland, in a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news that Mr. Lee Han-eung took his life began to flash around the world and give a great shock to foreign affair circles in each country and people in the nation. Min Yeong-hwan's death led people in the nation to realize the necessity for strong national sovereignty and have an attitude to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news that Lee jun took his life was advertised to the world by newspaper articles, signaling the beginning of independence movement to Korean ethnic people in foreign countries. In the nation, his death gave youths a great influence in forming awareness of independence. In particular, the idea of the resurrection of Korea's soul contributed to rekindling struggle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minds of Korean ethnic yout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