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 (The Senses and Logic of Non-Politics in the Literary Discourse after the 4.19 Revolution and in the Late 1960s : With a Focus on the Petit Bourgeois-Citizen Controversy and the Realism Controvers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4.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5호 / 223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석

    초록

    4.19 혁명에 대한 문학적 전유는 6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문학 담론의 헤게모니 경쟁의 과정에서 새로운 문학 주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문제화되었다. 60년대 중반 이후 문단에 등장하여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학이념을 제시하였던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 진영은 60년대 문학의 가치를 정립하려 하면서 그 가치를 담지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하는 문제에서 서로 상이한 입장을 취하게 된다. 소시민-시민 논쟁을 촉발시킨 김주연은 소시민의식을 통해 60년대의 일상성 위에서 왜소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개인들을 문학적 주체로 내세우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의식을 결여한 것으로 비판받는 위치에 놓인다. 이호철, 서기원 등 전후문학 세대에 의해 이루어진 이러한 비판 속에 백낙청은 ‘시민문학’의 가능성을 논하는 방식으로 개입함으로써 소시민 논쟁을 해소시키는데 그는 ‘시민’이 현실 속에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념적으로도 정립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그 빈 자리에 ‘올바른 시민의식’으로서의 ‘사랑’을 문학적 가치로 내세운다. 김주연과 백낙청에 의해 제시된 소시민의식과 시민의식의 개념화는 ‘시민’을 현실에서 부재하는 것으로 전제한 바탕 위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4.19의 정신적 유산을 추상적 관념으로 전환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시민’에 대한 가치부여는 더 이상 가능해지지 않게 된다.
    곧이어 전개된 리얼리즘 개념을 둘러싼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 양 진영 사이의 논쟁은 문학 방법론으로서 리얼리즘에 대한 강한 입장 차이를 드러낸다. 『창작과비평』 진영이 리얼리즘을 발자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옹호하고 『문학과지성』 진영이 리얼리즘을 시대에 맞지 않는 낡은 기법으로 평가절하는 가운데 양 진영이 문학의 주체로 발견하게 되는 것은 민중으로서의 ‘농민’과 각성된 개인으로서의 ‘지성인’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주체는 ‘시민’이 가진 사회적 문맥을 비껴나 각기 역사발전에 의해 요청된 당위적 존재와 사회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지적 존재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개념화로 유발된 것은 당대 현실에 의해 문학담론에 요청된 정치적 비판이 정치 현실을 간접적으로 우회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4.19 혁명에 의해 열린 시민사회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문학 담론 외부로 밀려나게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영어초록

    The 4.19 Revolution hold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well as in that of politics. The literary discourse around the society and the concept of citizen as the subject of society, which was triggered by the revolution, began to be visualized by the argument that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writers in the 1960s including Ju-yeon Kim and Hyeon Ki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was different from the post-war generation. Ju-yeon Kim stressed that individuals with a new sentiment as well as their "own worlds" should be the subjects of literature by presenting the "consciousness of petit bourgeois" as a literary value. It was "theory of citizen literature" by Nak-cheong Baek that resolved the petit bourgeois-citizen controversy that also involved generational disputes. Putting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itizenship opposite to the consciousness of petit bourgeois, he understood the "images of incomplete human beings of the unknown" and thus proposed "bourgeoisie" as a Sollen concept rather than a social substance. Following the process, the realism controversy betwee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Intellect and that of Creation and Criticism provided a different perspective regarding the issue of literature methodology and subject in reality. While the latter proposed the nation and people as the subjects to replace citizens and paid attention to farmers as their substance through the controversy, the former emphasized writers as individuals confronting the society and their imaginations and regarded urban intellectuals to represent those individuals as the subjects of literature. In that process, the "citizen" concept that was perceived through the revolution was resolved. As a result, discussions about the functions and possibilities of literary field as a venue for public opinions exposed the limitations of both the fields that could not be specified within the scope of literary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