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팅에서의 일본인 여성 젠더표현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 문말표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Japanese female gendered language expression usage tendency in chatting –Towards sentence final expressions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11
18P 미리보기
채팅에서의 일본인 여성 젠더표현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 문말표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교육연구 / 37호 / 139 ~ 156페이지
    · 저자명 : 奥田亜未

    초록

    성별을 중심으로 일본어를 개관하면, 여성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말과 남성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말로 이분할 수 있다. 일본어는 언어사용에 있어서 남녀차가 타 언어보다 뚜렷하다고 평가되는데, 실제로 다양한 용례에서남성어와 여성어의 차이가 음성, 어휘, 문법 등에 반영되어 표출된다. 특히 여성은 사회적으로 여성스럽다고 인식되는 정중한 말투의 언어사용(言葉遣い)을 강요당하는 입장에 있어, 여성이 사용하는 어(語)형식에는 여러 형태의제약이 존재한다. 그러나 근년, 다양한 대면대화를 다룬 실증적 연구에서, 남녀의 언어가 상호 접근하는 중성화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성과 즉시성(卽時性)적 요소를 지니며 문자로 표기되는 매체 중 구어에 가장 가깝다 판단되는 채팅을 분석자료로 하여, 채팅에서 표출되는 여성의 젠더표현 사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시에, 여성이 상대방의 성별에 따라 말투를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연구주제는 여성의 말투이며, 젠더차가 가장 드러나기 쉬운 문말표현을 분석단위로 하여 이에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팅에 있어서 여성의 남성어 사용이 확인되었으나, 상대방과의 대화를 보다즐겁게 하기 위한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한 의도가 확인되어, 대화상대에 대한 여성특유의 배려가 관찰되었다. 또한, 남성어가 사용된 일부 발화장면에서, 상대에게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는 장면에서의 남성어 사용이확인되었다. 젠더에 따른 사용분류에 있어서는, 동성에게는 남성어를 사용하고 이성에게는 여성어를 사용하는 등, 남성에게 여성스러운 표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영어초록

     If we look at the Japanese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it can be divided into men and women's language. In the case of Japane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ech style of women and men is clearer than in other languages and in many examples, the difference between a women's and men's language is expressed through means like phonetic, vocabulary and grammar. In particular, since women are socially obligated to use feminine polite language of the feminine socially respectful tone it can be said that women are restrained in their use of language. However, some recent researches about face to face discourse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speech style are slowly disappearing. Based on this fact and considering online chatting the closest to spoke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and instantaneit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analyzing female language expressions material collected from on-line chat room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different use of tones in speech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conversation partner.
    While analyzing female speech styl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sentence-final particles where gender based language differences are usually expressed. As a result, this research could verify that female tend to use male words, because that leads to a more enjoyable communication with the partner and thus female’s consideration for their conversation partners would be observed as well. Furthermore,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where male language is being used, the research confirmed its usage even in discourse not solely directed towards the partner.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gender related usage of language, this research confirmed the tendency to use male language independently of the speaker's gender as well as the tendency to use female language expressions in opposite gender's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