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감정론-‘말 탄 사람’(人乘馬)의 비유를 중심으로- (Four-Seven Debate and the Metaphor of Man Riding a Hor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감정론-‘말 탄 사람’(人乘馬)의 비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41호 / 323 ~ 352페이지
    · 저자명 : 정소이

    초록

    이 논문은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 중․후기 유학자들의 감정에 대한 논리와 그 비유를 전반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유학자들은 ‘리,’ ‘기’와 같은 형이상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각자의 감정론의 성격을 설명하였는데, 그들이 전제하고 있는 리기의 범위, 작용, 운동성, 주재력 등은 매우 상이하여 그 논쟁은 매우 복잡해 질 수밖에 없었다. 서로의 전제를 통일시키고 이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비유(metaphor)를 차용하는 것이다. 비유를 통해 조선시대 논쟁을 살펴본 논문으로는 최해숙의 「湖洛論爭중에 나타난 性과 간장․물의 비유」, 『東洋哲學硏究』 Vol.41(東洋哲學硏究會, 2005)과 이향준의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스를 상상하며 리와 기를 논하다』 (서울: 예문서원, 2011) 등이 있다.
    이는 현실세계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사물이나 경험을 빌어 형이상학적 개념과 구조를 좀 더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비유는 개념의 질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지만, 논변의 쟁점과 서로의 입장차를 분명히 드러내 준다는 점에서 복잡다단한 논쟁들을 일관성 있게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몇 세기에 걸친 사단칠정 논쟁에서 가장 기본이 되었던 비유는 단연 정감-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도 아우른다-을 ‘말 탄 사람(人乘馬)’에 비유한 것이다. 이 비유에서 사람은 리, 말은 기를 상징한다. 리기 호발설을 주장한 퇴계는 사단은 사람이 말을 탄 경우에, 칠정은 말이 사람을 태운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 이 경우 사람과 말은 둘 다 주재력을 지닌다. 이에 반에 율곡은 기발리승일도설을 주장하며 모든 비유의 초점을 ‘말’의 기질이 어떠한지를 논의한다. 이 경우 사람은 주재력이 거의 없다. 퇴계학파 중 성호는 모든 것이 리발이라는 리발기승일도설을 주장하였는데, 그의 비유는 모두 ‘사람’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말’은 단순한 도구일 뿐이다. 주리론자의 경우 역시 성호학파와 마찬가지로 오로지 ‘사람’의 주재력만 인정할 뿐 말의 자의성은 인정하지 않는다.
    사실 인승마의 비유는 사람과 말이 동시에 주재력을 갖는 퇴계의 이론에게 가장 적합한 비유였다. 후기의 학자들은 인승마 비유에 응답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론들에 적합한 다른 비유를 발굴하여 사용하였는데, 기의 주재성을 극대화하는 율곡의 경우 ‘물그릇’비유를, 리의 주재성을 극대화하는 성호의 경우 ‘배 탄 사람’의 비유를 주로 사용하였다. 인승마 비유는 또 많은 변형된 형식으로 설명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 학파가 가진 고유한 리기론과 감정론을 이해하고 풀이하는 기초적인 단서로 사용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etaphysical constitution of moral and natural emotions was a hotly debated topic among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For centuries, scholars had disputed over the nature of emotions; however, due to their different premises and assumptions in using the metaphysical terms like li the principle and qi the material force, the discussion became so complicated that no scholars could adequately put an end to the long-lasting debate. In the midst of confusion, ‘metaphor’ became a popular methodological means to unify the premises and clarify one’s point of argument.
    One metaphor that had been widely adopted by Confucian scholars was the metaphor of ‘man riding a horse’; man symbolizes li the principle and horse stands for the qi the material force. Toegye claimed that moral emotions like Four Beginnings (四端) were principle-governed feelings, just ike a man leading the horse. Yulgok opposed that moral emotions were appropriately manifested natural feelings, just like a good-tempered horse carried a human to her destination. Sungho, on the other hand, claimed that moral emotions are the manifestations of human good will, just like a human is riding a horse to perform a public duty.
    Different schools adopted different metaphors that would better represent their metaphysical stance. Some created a water-ball metaphor, and some others brought up a ‘man-rowing a boat’ metaphor. There also emerged a different versions of a man riding a horse, from which we can understand without much difficulty the context in which a scholar arguing for a particular metaphysical constitution of human moral emo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