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어말어미 ‘-오-’와 언어 변화의 상관성 -의존명사 ‘ᄃᆞ’ 구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refinal ending '-O-' and linguistic chang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6
29P 미리보기
선어말어미 ‘-오-’와 언어 변화의 상관성 -의존명사 ‘ᄃᆞ’ 구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2호 / 221 ~ 249페이지
    · 저자명 : 정수현

    초록

    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 ‘ᄃᆞ’가 함께 쓰인 구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는 명사구 내포문에 거의 필수적으로 나타나며, 그리고 그 분포는 동명사형어미 ‘-ㄴ, -ㄹ, -ㅁ’의 앞이다. 또한 15세기 문헌을 살펴보다 보면 명사구 내포문이 아니라 연결어미, 종결어미에 쓰인 ‘-오-’도 발견할 수 있다. 명사구 내포문과 어미에 쓰인 형태소와 분포가 같다면 우리는 그 둘 사이의 상관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세국어에서 ‘-오-’는 명사구 내포문을 구성하여 명사성을 가지게 하는 요소로 기능하면서 강조, 초점 등의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며 쓰이다가 ‘-오-’의 소멸로 명사성을 잃어 가면서 부사화, 접속문화하여 양태적 기능만을 갖도록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 형태소가 쓰이는 환경에 있어서 명사성을 잃으면서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의 이유를 내포문 구성에서의 ‘초점’에서 얻을 수 있다.
    의존명사 구문에서도 선어말어미 ‘-오-’는 나타난다. 그러나 그 출현 여부는 의존명사의 성격에 따라 빈도가 다르다. 의존명사를 목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면서 명사성이 강한 보편성 의존명사 구문일수록 선어말어미 ‘-오-’가 필수적으로 결합한다. 의존명사 ‘ᄃᆞ’가 ‘이’와 결합한 ‘디’는 15세기 문헌에서 많은 수가 ‘-오-’를 선행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오-’와 의존명사 ‘ᄃᆞ’가 통합한 구문은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의 문법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한 중심에 서 있는 구문일 수 있다. 실제로 15세기 문헌에서 의존명사 ‘ᄃᆞ’가 주격조사, 지정사와 쓰인 구문에서는 ‘-오-’가 없이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올디, -온디’ 구문은 15세기 이후의 문헌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다른 말로 교체되는 현상까지 보인다. 이는 아마도 다른 구문에서 쓰인 ‘-오-’가 소멸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라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prefinal ending “-O-” that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nd the dependent noun “ᄃᆞ” were used together.
    The prefinal ending “-O-,” which appear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ppear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almost requisitely, and it is distributed before the verbal formendings “-n, -l, -m.” And whe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s examined, the prefinal ending “-O-,” which was used in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rather than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can also be found. If the distribution of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rpheme used in the endings, we can think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result, “-o-” in medieval Korean makes up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and functions as the element enabling it to have noun natur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modal meanings such as emphasis and focus and loses noun nature due to the extinction of “-O-” and becomes adverbial or conjunctive sentence, and can change to have only the function of modality.
    The prefinal ending “-O-” can also appear in the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But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ependent noun. As shown in the catalogue of the dependent nouns presented as follows, the universal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which is of strong noun nature, is requisitely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O-”. The word “디” which is dependent noun “ᄃᆞ” combined with “이” appears invariably before “-오- ”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ccordingly,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O-” is combined with the dependent noun “ᄃᆞ” can be the sentence structure that stands in the middle of the grounds that explain the grammatical process of the prefinal ending “-O-” and the dependent noun. Actually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dependent noun “ᄃᆞ” is used with the subjective case postposition, seldom appears without “-O-”. But the “-올디, -온디” sentence structure seldom appears in the literature after the 15th century and sometimes it is replaced with other words. This can be presumed that probably it dis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extinction of “-O-” that was used in other sentence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