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유기적’ 노랫말을 지닌 고전시가의 재해석-잡가 <제비가>를 중심으로- (The Lyricism of So Called 'Non-organic' Classic Songs -Centered on Jap-ga 'Jebi-g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8.05
32P 미리보기
‘비유기적’ 노랫말을 지닌 고전시가의 재해석-잡가 &lt;제비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4권 / 353 ~ 384페이지
    · 저자명 : 고정희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비유기적 노랫말을 지닌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가능성을 재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라는 특성을 지닌 비유기적 시가를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먼저 여러 노래들이 함께 모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 노랫말의 계열화를 통해 이미지나 정서의 공통점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여러 노래들이 완전히 융합되지 못하고 비유기적으로 결합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노랫말이 연원한 원래 텍스트들의 맥락을 추론한다. 이에 따라 잡가 <제비가>를 분석한 결과, 여러 노래들이 ‘욕망의 추구’와 ‘욕망의 좌절’이라는 공통점에 따라 하나의 노래로 합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두 계열로 수렴되지 않는 노랫말의 비유기성은 원래 텍스트의 정서와, 재해석된 정서, 원래 텍스트와 새로운 텍스트의 접점에서 생겨난 정서들이 전혀 종합되지 않은 결과로 해석된다. 이처럼 부분의 종합적 전환이 불가능한 비유기적 시가들은, ‘전체’로 지양되지 않은 ‘개별자’의 경험이 곧 보편적일 수 있다는 서정시적 이념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비유기적 시가들은 그저 유기성이 모자라는 시가로 볼 수 없다. 오히려 의도적으로 분산시킨 정서를 통해 냉혹한 현실에 대한 개별자의 문제의식을 드러낸 서정시라고 보아야 한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lyricism of so called 'non-organic' classic songs. For this purpose, a new method which can elucidate the lyrical feature of non-organic songs should be introduced. As non-organic songs can be interpreted as 'one song composed of multiple songs", we need to examine the way diverse songs can gather into one new song. To accomplish that, two different aspects have to be considered. First, poetic di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paradigmatic spheres, which reveal the similarity of images between different songs. Second, to explain why diverse songs gather into a new song without semantic relation, the semantical situation of the original song has to be explor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Jap-ga 'Jebi-ga' by this method, similar images-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ticipation of desire' and 'frustration of desire'-between diverse songs were revealed. The other poetic spirits and tones coming from diverse original songs make the poetic tone of the new song extremely fluctuating. This is triggered by the failure of synthesis between the diverse tones of the original text, reinterpreted text and the joint tones of the two texts. It is impossible to synthesize the diverse portions into oneness in a non-organic song, but that concretizes the lyrical idea that individual experience can be transferred into universality without any sublation of itself. So non-organic songs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inferior poetry, it should be regarded as a particular lyrical poetry which shows the individual's protest against odd and cold reality around him through the non-organic, unpredictable poetic spirits and t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